세운 5구역 경관녹지에 지어질 문화산업센터 예상도. 서울시 제공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돼 철거 위기에 놓인 서울 을지로·청계천 일대 공구상가의 세입자들을 위해 서울시가 공공임대산업시설(산업시설)을 8곳 만들어 700개 이상의 유통·제조 업체를 입주시키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서울시는 4일 세운재정비촉진지구, 수표구역 안에 산업시설 8곳을 만들어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료로 기존 세입자들을 입주시키는 등의 내용을 담은 ‘산업거점공간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산업거점공간에는 기계·정밀, 산업용재, 인쇄 등 구역별 산업입지 특성을 반영한 산업시설, 스마트앵커시설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특히, 기존 세입자에게는 주변 임대료 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되는 산업시설을 700호 이상 만들 계획이다. 시는 이런 산업시설을 세운재정비촉진지구와 수표지구 등 구역마다 설치해 정비사업에 따른 이주 수요를 최대한 수용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세운 3구역 공공부지에 기계·정밀 제조업체 약 200호가 들어설 수 있는 상가가 세워진다. 세운 5-2구역, 세운 5구역 경관녹지에 각각 약 100호의 기계·정밀 제조업체가 입주하는 지식산업센터, 110호의 기계·정밀 제조업체가 들어갈 수 있는 문화산업센터가 지어진다. 인쇄업체가 많은 세운 6구역에는 인쇄스마트앵커시설, 서울메이커스파크 등이 들어선다. 시는 이런 방법으로 700호 이상의 제조·유통업체를 입주시킬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세운재정비촉진지구 전체 171개 정비구역 가운데 일몰 시점이 지난 사업 미추진 152개 구역은 정비구역을 해제할 방침이다.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해제 지역은 주민들의 의견을 듣고 세부적으로 주차장 확보 등 재생 사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운3-2구역 안에 있는 노포 을지면옥은 소유주가 “원형보존 반대, 신축 건물 입점 희망”의견을 밝힘에 따라, 철거 후 새로운 건물에 입주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오는 10월까지 세운재정비촉진계획 변경을 마칠 예정이다.
채윤태 기자
cha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