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도시개발사업에 대한 실시계획을 11일 인가한다고 지난 7일 밝혔다. 공공임대주택을 4000가구 규모로 짓고 1107가구를 기존 거주민이 재입주하게 하는 게 목표다.
서울시는 개포동 567-1 일대에 4000가구의 공공임대주택을 짓고 기존 거주민들에게는 임대료를 파격적으로 인하해 100% 재정착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의 도시개발사업 실시계획을 인가 고시하기로 했다. 2016년 12월 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수립이 고시된 뒤 4년만이다. 이 곳 구룡마을엔 1980년 말부터 무허가 촌락이 형성된 뒤 현재 1100여 세대가 거주하고 있다. 서울시는 이들이 모두 임대주택에 재정착할 수 있게 하고 공공주택은 전면 임대주택으로 공급해 이른바 ‘로또 분양’을 방지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밖에 초등학교 1개와 의료연구단지, 공공복합시설 및 근린생활시설, 도로, 공원, 주차장 등 기반시설도 설치된다. 서울시는 각 단지별로 공모를 통해 아이디어를 모아 설계안을 확정하고 다양한 계층과 연령이 조화될 수 있는 ‘소셜믹스’ 방안의 구체적 대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이번 개발 사업은 2022년 착공해 2025년 하반기 완료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개포 구룡마을 도시개발사업은 사업 취소로 원점에서 시작해 어렵게 이뤄낸 결실인 만큼 자치구, 거주민, 토지주 등과 적극 협력해 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며 “열악한 환경에서 오래도록 생활했던 거주민들에게 쾌적한 주거 환경과 현재 정착 기회를 제공하는 도시개발사업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송경화 기자
freehw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