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제로배달 유니온 협약식’에서 박원순 서울시장, 더불어민주당 이용선 의원, 제로배달 유니온 협약기관 대표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와 중소규모 배달앱업체(배달앱) 10곳이 배달수수료 절감을 위해 손을 잡았다. 서울시가 가맹점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배달앱에 서울 시내 제로페이 가맹점 25만여곳을 연결하고, 배달앱이 가맹업주(소상공인) 수수료를 2%대로 낮추는 방법이다.
서울시는 25일 여의도 국회에서 10개 배달앱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로배달 유니온’ 협약을 맺었다. 협약 내용은 보면 10개 배달앱과 가맹계약을 맺은 소상공인 업체는 상품 가격대비 2%대의 저렴한 배달 중개수수료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현재 대형 배달앱의 수수료가 6~12%인 점을 고려하면 최대 10%까지 수수료가 낮아지는 셈이다.
배달앱이 수수료를 낮추는 대신 서울시는 가맹점 확보를 위해 25만개의 제로페이 가맹점을 대상으로 집중 홍보에 나선다. 이번 협약에 참여하는 배달앱은 띵동, 페이코, 로마켓, 놀장 등 10개 중소규모 10개 업체다.
빠르면 9월부터 이들 업체에서 서울사랑상품권(제로페이)으로 결제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더불어민주당 이용선은 배달앱사가 지자체에 등록하면 지역화폐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지역사랑상품권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지역화폐법)’ 일부개정안을 발의했다. 기존에는 지역화폐법에 음식업 등 자영업 사업자를 말하는 ‘가맹점’, 지역화폐 판매‧환전 금융회사를 뜻하는 ‘판매대행점’ 등 규정만 있어서 배달앱의 지역화폐 거래가 사실상 불가능했다.
시는 서울사랑상품권을 정가에서 최대 10%까지 할인해 살 수 있고, 제로페이 사용자가 120만명에 육박하는 만큼 이번 협약이 소상공인의 부담을 덜고 시민들의 편익을 증가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배달의민족이나 요기요 같은 시장 점유율이 높은 기업들이 협약에 참여하지 않는만큼 해당 사업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국내 배달업계 시장 규모는 지난 2018년 약 3조원에서 코로나19 여파를 겪으며 올해 약 20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협약식에 참석한 박원순 서울시장은 “배달앱 성장이 가져온 부가가치가 독과점 기업에만 가는 것이 아니라 소상공인 등에게 골고루 분배되는 시장구조가 형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덕현 소상공인연합회 서울시협의회장은 “서울시의 강한 의지로 시작되는 이번 협약으로 소상공인 부담이 완화하고 그 이익이 장기적으로 소비자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