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경기교통공사 등 5개 공공기관을 경기북부 등 공공행정 인프라가 취약한 지역에 신설·이전하겠다고 밝히자, 파주시와 의정부시가 유치경쟁에 뛰어들었다. 유치경쟁이 가장 치열한 대상은 경기도에 새로 설립되는 경기교통공사다.
파주시는 경기교통공사 유치를 위해 관공서와 역 주변 등 다중이용시설을 중심으로 QR코드를 이용한 범시민 서명운동을 펼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파주시는 운정새도시 개발이 완료되면 인구 70만명 규모의 큰 도시가 되지만 중앙부처나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이 전혀 없다며 경기교통공사 유치에 발 벗고 나섰다. 파주시 관계자는 “파주는 경기북부 지자체 중 북한과 직접 접하고 있는 곳으로 경기도 균형발전을 위한 도 산하기관 이전 취지와도 가장 적합한 곳”이라며 “각종 규제의 상징처럼 여겨지던 접경지의 오명을 벗을 수 있도록 해달라”고 말했다.
의정부시가 경기도 산하기관 유치 타당성 연구용역 실무회의를 열고 있다. 의정부시 제공
의정부시는 5개 공공기관 중 경기교통공사와 경기도일자리재단,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등 3개 기관 유치를 희망하고 있다. 의정부시는 8일 경기북부청사 앞에서 녹색어머니회와 모범운전자회 등과 함께 경기교통공사 유치를 염원하는 교통안전 캠페인을 벌이고 광역행정타운을 기반으로 의정부가 경기북부 교통 허브도시로서의 최적지임을 부각할 예정이다. 안병용 의정부시장은 “의정부는 경기북부청사, 도교육청 북부청사, 경기북부지방경찰청 등이 위치한 행정의 중심지, 경기북부 교통·지리의 중심지로서 효율적인 업무추진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최고 적격지”라고 강조했다
상주 인원 40명으로 출범하는 경기교통공사는 오는 17일까지 공모 제안서 접수 뒤 심사를 거쳐 8월 중 최종 지역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전 대상 시·군은 경기북부지역, 접경지역, 자연보전권역으로 총 17개 시·군이다.
앞서 경기도는 경기교통공사,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경기도일자리재단, 경기도사회서비스원,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등 5개 공공기관을 공모를 통해 도내 17개 시·군에 분산 배치해 지역 간 균형발전을 도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