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쇼핑㈜이 소유하고 있는 ‘인천종합버스터미널’(이하 인천터미널) 운영권을 두고 인천교통공사와 ㈜대원고속 사이 경쟁이 치열하다. 현재 전국에서 유일하게 공기업인 인천교통공사가 운영을 맡고 있는데, 대원고속이 도전장을 내면서 현행처럼 공영 방식을 유지할지, 22년 만에 민영화될지 관심이 쏠린다.
지난 1998년 미추홀구 관교동에 문을 연 인천터미널은 인천시 산하 공기업인 교통공사가 터미널면허권을 취득해 지금까지 운영하고 있다. 재정난을 겪던 인천시가 2013년 인천터미널 터 7만7815㎡와 건물 전부를 9천억원에 롯데쇼핑 쪽에 매각하면서 이후부터는 임대계약을 맺고 운영하고 있다.
올해 연말 임대계약 만료를 앞두고 롯데 쪽은 지난 7월 제안입찰 방식으로 인천터미널 운영권(임대계약)을 맡기겠다며 교통공사 쪽에 제안입찰서를 내달라고 요청했다. 국내 최대 버스회사인 케이디(KD)운송그룹 소속 대원고속이 인천터미널 운영 의사를 밝혀왔기 때문이다. 롯데로서는 경쟁자가 나타난 만큼 양쪽이 낸 제안입찰 내용을 토대로 임대계약을 체결하겠다고 밝히고 나선 셈이다. 현재 양쪽 모두 제안서를 냈고, 롯데 쪽 결정에 따라 현행 공영 체제를 유지하느냐, 민영화로 전환하느냐는 갈림길에 섰다.
대원고속 쪽은 연간 임대료 규모를 현재(17억원가량)보다 2배쯤 더 내겠다고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케이디운송그룹이 운영하는 수도권 8개 노선을 신설하고, 카카오페이 등 간편결제 서비스 확대 등 시민 편의 증진 방안도 제시했다. 대원고속 쪽 관계자는 “전국 50여개 버스터미널 대부분 민영화됐고, 부산 등 6곳은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하되 민간에 위탁 운영하고 있다”며 “이는 공기업이 민간의 전문성을 따라오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민영화되더라도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등을 적용받는 만큼 버스요금 인상으로 이어지진 않는다”고 덧붙였다.
교통공사 쪽은 현재 임대료 수준보다 일부 인상된 금액을 제시했다고 알려졌다. 다만, 임대료 인상은 고속·시외버스의 주박차(밤샘주차) 이용료, 이용객 주차장 사용료 등 각종 시설 이용료 인상으로 이어지고, 버스요금 인상을 초래해 시민 부담을 늘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교통공사 관계자는 “터미널은 공공재 성격이 큰데, 민간이 운영하면 수익성을 높이는 쪽으로 운영하지 않겠느냐”며 “22년간 터미널을 운영해온 전문성이 있는 공기업이 운영하면 아무래도 시민에게 더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롯데쇼핑 쪽은 제출된 제안서를 검토해 조만간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롯데쇼핑 관계자는 “현재 터미널이 있는 터와 건물 일대 전체 재개발을 추진하고 있는데, 정확한 시기는 결정되지 않았다”며 “재개발 때 터미널뿐 아니라 운송회사 등이 피해가 없도록 하는 것이 이번 입찰제안서 검토에서 최우선 고려사항”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원고속은 롯데쇼핑 재개발사업과 관련해 ‘건축심의’ 유관기관인 인천교통공사가 입찰에 나서는 것은 ‘이해충돌 원칙에 위배된다’며 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했다. 재개발 뒤에도 인천도시철도 역사와 연결해야 하는 만큼, 롯데로서는 인천도시철도 운영사인 인천교통공사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는 취지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