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제자리찾기와 국어문화운동실천협의회가 8일 훈민정음 해례본을 국보 1호로 지정해달라는 청원을 국회에 접수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대로 국어문화운동실천협의회 회장, 전용기 의원, 구진영 문화재제자리찾기 연구원, 혜문 문화재제자리찾기 대표. 구진영 연구원 제공
시민단체인 문화재제자리찾기는 숭례문을 국보 1호에서 해지하고 훈민정음 해례본을 국보 1호로 지정해달라는 청원을 국회에 접수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청원은 더불어민주당 전용기 의원 소개로 문화재제자리찾기(대표 혜문), 국어문화운동실천협의회(회장 이대로) 등의 단체가 국회의장에 제출했다.
이들 단체는 청원문에서 “숭례문이 국보 1호로 지정된 것은 1934년 조선 총독이 경성 남대문을 1호로 지정했기 때문”이라며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숭례문은 임진왜란 당시 가토오 기요마사가 한양으로 입성한 문이어서 국보 1호로 지정되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주장했다. 청원문은 이어 “2008년 방화에 의해 숭례문이 소실된 뒤 우리는 어이없이 국보를 잃은 충격에 빠졌고, 숭례문 복원을 보면서 부패와 비리로 얼룩진 부실 대한민국에 또 한번 충격을 감수해야 했다”며 “더 이상 국민에게 감동을 주지 못하는 모조품 숭례문은 대한민국 국보 1호로써 자격이 없다”고 덧붙였다.
시민단체들의 설명을 들어보면, 국보 1호 변경 문제는 김영삼 정부 당시인 1996년 이래 논란을 거듭해왔으며 2005년 감사원은 ‘숭례문은 조선총독이 지정한 문화재로 국보 1호로서 상징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변경을 권고하기도 했다. 당시 유홍준 문화재청장은 훈민정음으로 국보 1호 변경을 추진했으나 문화재위원회가 ‘사회적 혼란’을 이유로 부결시킨 바 있다.
이들 단체는 2015년 ‘훈민정음 국보 1호 지정 10만 서명운동’을 전개해 12만명의 서명부를 문화재청에 전달하는 등 훈민정음 국보 1호 지정에 앞장서왔다. 단체들이 2015년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국민 64%가 숭례문 보다 훈민정음이 국보 1호로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대표 청원인인 구진영 문화재제자리찾기 연구원은 “2008년 숭례문 소실이후 부실과 비리로 얼룩진 숭례문보다 민족 문화를 대표하는 훈민정음이 국보 1호로 변경되어야할 적절한 시점이 도래했다고 판단한다”며 “이번 국회청원을 계기로 국보 1호 변경문제가 문화재청 소관을 떠나 국회에서 국민여론을 수렴하는 쪽으로 결정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