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을 열흘 앞둔 23일 광주 남구 봉선동 동아여고에서 한 교사가 수능 시험장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열흘 앞둔 23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확진자가 255명(서울 109명) 발생한 가운데, 서울시가 시교육청과 협조해 확진자·자가격리자용 별도 시험실 설치 등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수능 시험 전까지 수험생들이 많이 찾는 음식점·카페 등에 대해서도 집중 방역을 하고, 방역수칙을 지키지 않은 곳은 과태료를 부과하기로 했다.
23일 서울시는 이러한 계획을 담은 ‘서울시 합동 태스크포스 대응체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먼저 수험생 확진자도 빠짐없이 시험을 치를 수 있도록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로 사용되는 서울의료원과 남산유스호스텔에 수능 시험을 볼 수 있는 공간 10개를 설치하기로 했다. 모두 수험생 27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로, 서울시 의료인력과 서울교육청의 시험감독관이 배치된다. 시험감독관은 시험일 사흘을 앞두고 감염예방 교육을 받는다.
자가격리 대상 수험생은 수능 당일 자치구 전담반이나 119구급차로 시험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조처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격리통지 기간에 시험일이 포함된 수험생을 위해 별도시험장 22곳을 마련했다. 또한, 확진자·자가격리자가 아니더라도 시험 당일 발열 등 증상이 있는 수험생은 일반시험장에 별도로 마련된 시험실에서 수능을 보게 된다. 자가격리자가 대학별로 치르는 시험은 별도시험장 3곳(방송통신대 학습센터 3곳)에서 치러진다.
수능 일주일 전인 오는 26일부터 올해 말까지, 수험생의 방문이 잦은 음식점·카페 등 중점관리시설 6종에 대해선 집중 방역을 한다. 방역수칙을 준수하지 않은 업소에 대해선 적발 즉시 과태료를 부과하고 확진자 발생 때 구상권을 청구하기로 했다. 입시학원·교습소 등 학원 1800곳을 대상으로 방역수칙이 준수되고 있는지 꼼꼼히 살피기로 했다.
수능은 서울에서 모두 10만6443명이 응시할 예정이다. 논술·면접 등 대학별 평가는 수시 78만7천명, 정시 17만8천명에 달한다.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