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테크로밸리에서 일하다 해외 출장을 다녀온 연구원이 성남시에서 운영 중인 임시생활시설에 입소하기 위해 수속 절차를 기다리고 있다.
‘9월 1079명, 10월 1353명, 11월 2343명….’ 경기도 성남시의 최근 3개월간 해외 입국자 현황이다.
1600여개의 기업이 입주해 있는 판교테크노밸리가 있는 성남시는 해외 출장인력과 바이어 등 해외입국자가 많은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하나로 손꼽힌다. 94만명 인구에 서울을 오가는 이들도 많아 코로나19 지역감염이 끊이지 않고 있는데, 해외유입이라는 또다른 방역전선까지 감당해야 하는 셈이다. 이에 기초자치단체 가운데서는 드물게 전용 임시생활시설과 관련 태스크포스를 가동하는 등 방역과 기업활동 지원에 분주한 상황이다.
성남시는 애초 수정구 시흥동 코이카(한국국제협력단) 건물을 해외입국자 임시생활시설(270여실)로 지정하고, 해외입국자들의 격리 장소로 운영해왔다. 하지만 지난 8·15 광화문집회를 계기로 이 시설은 서울시 임시생활시설로 지정됐다. 성남시는 시내 비즈니스호텔 등 대체시설 물색에 나섰으나, 대부분 지정을 기피했다. 결국 서울시와 협의 끝에 8월28일부터 서울시 중구 명동 스카이파크호텔(96실)을 성남시 임시생활시설로 사용하게 됐다.
성남시는 지난달 25일엔 ‘성남시에 주민등록이 된 자’로 돼 있는 임시생활시설 입소 자격에 ‘성남시 소재 기업에서 일하는 자와 성남시 기업체 취업 또는 방문 외국인’을 추가했다. 그 결과 분당과 판교벤처밸리 입주기업 직원들과 바이어 등 외국인도 1박에 10만원을 내면 바로 임시생활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성남시 공무원들이 해외입국자들의 임시생활시설로 전달할 물품을 분류하며 정리고 있다.
성남시는 이들의 입국 상담부터 코로나19 검사, 임시생활시설 입소를 원스톱으로 처리하기 위해 재난안전관실에 ‘임시생활시설 운영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운영 중이다. 정승교 태스크포스팀장은 “판교테크노밸리 연구소가 있어 입국자가 한달에 10여명에 달하는 한 기업체의 경우, 임시생활시설을 구하지 못해 애를 태웠으나 최근 성남시의 임시생활시설 입소기준 등의 완화로 활로를 찾았다”며 “코로나19 감염 확산에도 불구하고 해외 연구인력의 활발한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성남시에는 6만5511개 업체(2018년, 통계청 기준)에 46만2천여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지난달 말 현재 누적 해외입국자는 1만6372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이 해외 기업활동에 따른 입국자로 시는 추산하고 있다.
은수미 성남시장은 “판교테크노밸리가 완성되면 2500여개 기업에 12만3천여명의 첨단산업 종사자가 근무하게 된다. 이러면 200조원의 매머드급 매출이 전망되는 만큼 코로나19 사태가 종식될 때까지 기업활동이 위축되지 않도록 모든 방법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사진 성남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