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정보 등이 반영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예시. 서울시 제공
오는 6월부터 서울의 주요도로 신호등 정보를 민간업체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호까지 고려한 빠른길 찾기나, 안전운행에 방해되는 포트홀이나 불법 주정차차량 정보도 내비게이션을 통해 알 수 있다.
서울시는 국토교통부·경찰청과 함께 민간 내비게이션 업체에 신호등 색상·잔여시간 등 교통정보, 무단횡단 보행자, 불법 주정차 위치 등 14종의 디지털 도로 인프라 데이터를 개방한다고 25일 밝혔다. 시는 이러한 정보 공개방법 등에 대해서 내달 중 민간 내비게이션업체에게 설명회를 연 뒤 이르면 오는 6월부터 이 정보를 활용한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번에 개방되는 교통신호는 서울시 사대문 안, 여의도, 강남, 상암, 양화·신촌로 등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운영 중인 22개 도로 등 모두 597곳 교차로다. 시는 앞으로 내년 6월까지 6차로 이상 모든 시내도로 2468개의 데이터를 개방할 방침인데, 이는 시 전체 신호제어기 기준 45.9%에 해당하는 수치다.
시는 이러한 서비스가 상용화되면 신호시간에 맞춰 교차로 통과 안전속도를 알려줘 급감·가속으로 인한 사고위험과 연료 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도로 위 포트홀이나 무단횡단 보행자 관련 정보를 미리 운전자에게 알려주면 사고위험 역시 줄일 수 있다. 일부 민간 내비게이션 서비스들이 앞서가는 다른 차량에서 수집된 급감가속 정보를 바탕으로 뒤따라 오는 다른 이용자에게 사고위험을 알려주는 서비스(V2V, Vehicle to Vehicle)를 시행하고 있는데, 서울시가 준비하는 서비스는 신호제어기·센서 등 도로 인프라(V2I, Vehicle to Infra)를 통해 제공되는 점에서 다르다.
이번에 공개되는 정보는 차세대교통정보시스템(C-ITS) 실증사업의 하나로 수집·종합되는 데이터다. 버스 중앙차선 등 주요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센서나 버스·택시에 설치된 단말기, 신호등 신호제어기에서 수집된 데이터가 차세대교통정보시스템 센터를 통해 자율주행차량 등에 제공할 목적으로 수집된 것이다. 이 정보 가운데 일부를 일반 이용자에게도 실시간 공개하기로 한 것이다. 이수진 서울시 교통정보과장은 “도로인프라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 것은 200만원 안팎의 고가 단말기를 장착한 자율주행 차 등 일부 차량만 가능했지만, 수집되는 정보를 시민들이 폭넓게 이용할 수 있도록 민간 내비게이션 업체가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한 것”이라고 밝혔다.
황보연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금번 데이터 개방을 계기로 이제 서울은 차와 도로인프라를 5G·디지털로 연결하는 초저지연 커넥티드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자율주행 등 미래 교통시장도 선도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