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감염 확산 장기화로 대중교통 이용패턴이 크게 변화하면서, 공공성 강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승객 감소→버스회사 수익 악화→운행 감소→공공성 약화라는 악순환 조짐이 보이는 탓이다.
경기도 성남시는 24일 ‘코로나19 전후 버스이용 관련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 자료를 보면, 지난해 성남시 관내 108개 노선, 1103대 버스이용 연인원(승차 기준)은 1억1857만8천명으로 나타났다. 2019년(1억5786만6천명)보다 25% 줄어들었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이상을 유지하던 지난해 3월과 9월, 12월에는 승객이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30~40%가량 줄었다. 2019년에 견줘 광역버스는 41%,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는 각각 35%와 33% 승객이 줄었다. 특히 휴일에는 감소폭이 50%에 달했다. 시는 “승객이 줄어 수익성이 악화한 탓에 버스 운행이 줄고, 기사 급여도 떨어졌다”며 “시민도 출퇴근 교통 불편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성남시는 노선별 대책을 마련해 대중교통 공공성을 끌어올리기로 했다. 광역버스는 200억원을 들인 노선입찰형 일괄 준공영제를 통해 지난해 11월부터 운행 수준을 회복시키고 있다. 3월 개학쯤에는 코로나 이전 정도로 운행 수준을 회복하는 것이 목표다. 시내버스는 성남형 버스준공영제에 110억원을 투입한다. 교통 소외지역에는 누리버스를, 심야시간에는 반디버스를 투입하는 등 맞춤형 지원을 할 계획이다. 마을버스 역시 적자가 심한 노선에 50% 재정 지원을 하고, 인센티브(포상) 제도를 도입한다. 이밖에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기사 2천여명에게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3~5월 30만원(월 10만원)의 처우개선비를 지급하기로 했다.
성남시는 “일부 버스 감축 물량을 활용해 대규모 노선 확충을 추진하고, 올해 하반기 안에 종합적 대중교통 계획을 세워 코로나19로 변화한 대중교통 수요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