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17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취임 한 달 출입기자 간담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가 17일 오세훈 서울시장의 첫 조직개편안을 시의회에 제출했다. 주택공급 관련 조직이 격상됐고, 노동민생정책관은 공정상생정책관으로 개편된다.
오 시장이 그간 강조한 △공정·상생의 가치를 실현하고 △신속하지만 신중한 주택공급 △청년세대 지원 △도시경쟁력 강화 등 핵심정책에 대한 실행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먼저 기존 주택건축본부(2급 본부장)는 주택정책실(1급 실장)로 격상된다. 도시계획국에서 맡았던 ‘아파트 지구단위계획 수립 기능’도 주택정책실로 이관된다. 박원순 전 서울시장 때 몸집을 키웠던 도시재생실(1급 실장)은 새로 만들어진 균형발전본부(2급 본부장)로 흡수·통합된다. 재생정책과는 균형발전정책과로 재편돼 강남·북 균형발전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역사도심재생과는 도심권사업과로 바뀌어 역사 도심재생 사업과 도심 내 각종 거점개발 사업을 병행한다.
‘노동민생정책관’은 오 시장이 최근 가장 많이 쓰는 어휘를 담은 ‘공정상생정책관’으로 개편된다. 노동자·소상공인과 사회적 약자를 포용하기 위한 정책을 맡는다. 이날 취임 한달여 만에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오 시장은 “공정과 상생은 민생과 노동을 포괄하는 상위개념”이라며 “민생과 노동이 좀 더 직설적으로 영역을 구분한 표현이라면 공정과 상생은 민생과 노동을 포괄해서 더 넓은 의미에서의 가치를 뜻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부서 이름에서 민생과 노동이 빠졌다고 해서 민생, 노동을 안 한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미래청년기획단도 새로 만들어진다. 기존에 과 규모 조직이었던 ‘청년청’이 국 규모로 격상된 조직이다. 일자리·주거 등 흩어져 있는 청년정책을 총괄 조정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시민단체들이 주축이 된 서울민주주의위원회와 서울혁신기획관 기능은 신설 ‘시민협력국’에 통폐합된다. 합의제 행정기구인 서울민주주의위원회는 7월24일 기한이 끝나면 자문기구로 전환한다.
이날 제출된 조직개편안은 시의회 심의·의결 과정에서 바뀔 수 있다. 시 관계자는 “올해 7월 조직 개편이 될 수 있도록 시의회와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김양진 기자
ky0295@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