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5257명 당 1곳.
지난해 말 기준 인구 4만5773명인 충북 영동군의 공중목욕탕은 단 세곳이다. 2만명가량이 사는 영동읍에 한곳, 각각 2천여명이 사는 상촌면과 학산면에 한곳씩 있다. 애초 영동읍 공중목욕탕은 2곳이었지만 최근 한곳이 경영난 등을 이유로 문을 닫았다. 영동군은 지난 2020년 3억원을 들여 추풍령면에 공중목욕탕을 만들었지만 민간위탁 절차가 마무리되지 않아 아직 운영하지 않고 있다. 나머지 7개 면에는 목욕탕이 없다.
따라서 이들 면 주민은 목욕하려면 영동읍 등으로 ‘목욕탕 원정’을 가야 한다. 경북 김천, 전북 무주 등으로 도 경계를 넘어 장거리 목욕 나들이를 하는 주민도 더러 있다. 장준홍 대한노인회 영동군지회 사무국장은 “전엔 영동읍에만 목욕탕이 4곳 운영됐는데 점차 문을 닫으면서 여간 불편한 게 아니다. 목욕탕 확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민 목욕 관련 불편과 불만이 쌓이자 군이 나섰다. 먼저 올해 말 영동읍 부용리에 들어설 고령자 복지주택 부대시설로 7억원을 들여 300㎡ 규모 공중목욕탕을 지을 참이다. 이곳엔 65살 이상 노인가정 150세대가 들어설 예정이다. 2025년께 영동읍 매천리에 조성할 영동군 사회복지센터에도 4억원을 들여 400㎡ 규모 목욕탕을 지을 계획이다.
군은 올해 안에 목욕탕이 없는 황간, 매곡, 용화, 양산, 심천면 등에도 각각 1억7천만~2억5천만원을 들여 60~150㎡ 규모 작은 목욕탕을 지을 방침이다. 김호욱 영동군 노인복지팀장은 “목욕탕은 개인위생 관리 공간일 뿐 아니라 시골 마을 노인 등에겐 피로를 풀고, 이웃과 소통하는 공간이다. 면 소재지에 적어도 한 곳 이상 목욕탕을 만들어 주민 불편을 해소하려 한다”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사진 영동군 제공
▶한겨레 충청 기사 더 보기
▶오윤주 기자의 기사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