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가 압수한 위조문서들. 최예린 기자
각종 공·사문서를 위조해주고 돈을 받은 일당과 문서 위조를 의뢰한 사람들이 무더기로 경찰에 붙잡혔다. 검거된 위조 의뢰자 중에는 위조한 학위증명서와 졸업장 등을 사용해 제약회사와 언론사에 취업하거나 해외 대학에 입학한 사례도 있었다.
대전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는 25일 학력·경력·성적 증명서 등 문서 위조를 의뢰해 부정취업, 대학진학 등에 활용한 90명을 공·사문서 위조·변조, 업무방해 등 혐의로 검거했다고 밝혔다. 이들로부터 돈을 받아 위조범에게 전달한 5명도 경찰에 붙잡혔다. 중국에 체류 중인 위조범 ㄱ(47)씨와 ㄴ(31)씨 등 2명은 인터폴 적색 수배와 국제공조수사를 요청해 추적 중이다.
이들이 위조한 문서들은 박사학위 증명서, 졸업증명서, 성적증명서, 어학성적증명서, 경력증명서,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운전경력증명서, 수능성적표, 공무원합격증, 병원진단서 등이다. 실제 위조된 문서로 부정취업·승진에 성공(18건)하거나 해외대학에 입학(3건)한 사례도 있었다. ㄷ(29)씨는 위조한 박사학위증명서를 이용해 제약회사에 취업했고, ㄹ(30)씨는 거짓 대학졸업장과 성적증명서로 신문사 입사에 성공했다. ㅁ(33)씨는 위조한 해외음대 석사과정 졸업장으로 독일 음대 박사과정에 진학하기도 했다. 의가사 제대를 하기 위해 대학병원 진단서를 위조하거나, 회계 실수를 감추기 위해 은행거래 내역서를 거짓으로 꾸민 경우도 있었고, 부모에게 보여주기 위해 공무원합격증, 석사졸업장을 위조한 사례도 있었다.
홍영선 대전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장은 “인터넷에 ‘문서 위조’라고 검색하면 쉽게 홍보글을 찾을 수 있을 만큼 문서 위조가 만연해 있다”며 “‘정부 24 인터넷 발급문서 진위 확인 서비스’와 ‘한국산업인력공단 자격증·확인서 진위 확인 서비스’ 등을 활용하면 거짓 문서인지 확인할 수 있다. 회사·학교의 인사·입학담당자는 위조문서가 생각보다 많다는 사실을 알고 접수서류를 철저하게 검증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