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는 도민의 염원인 미래해양과학관 건립 사업이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사업 적합 판정을 받아 본격적으로 사업이 추진된다고 19일 밝혔다. 도는 기획재정부의 요청으로 지난 2월부터 한국개발연구원 진행한 해양과학관 건립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비용대비 편익(B/C)이 1.16을 받아 사업성, 경제성 등이 인정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10일 국회에서 열린 내년 예산안 심사에서 미래 해양과학관 설계비 25억원이 통과되면서 사업 추진 기대감을 높였다. 당시 국회는 사업 추진의 기준이 되는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비용대비 편익(B/C)이 1 이상 나오는 것을 전제로 예산안을 통과시켰다.
충북도는 2005년 충주 해양수산문화관, 2010년 청주 해양수산문화체험관, 2015년 청주 해양과학관, 2017년 청주 미래해양과학관 등 4차례에 걸쳐 국립 해양 시설 건립을 위해 힘썼지만, 번번이 고배를 마셨다.
앞서 충북도는 ‘바다 없는 마을 충북에 바다를 달라’는 역발상을 앞세워 정부에 국립 해양과학관 건립을 촉구했다. 지난 3월 꾸린 미래해양과학관 유치 추진위원회는 “헌법상 행복추구권, 평등권 등에 따라 충북은 바다를 가질 권리가 있고, 국가는 충북에 바다를 줄 의무가 있다”고 주장해왔다. 또 바닷가에 몰려 있는 해양 관련 시설을 내륙에도 설치해야 한다는 당위성도 곁들였다.
실제 지난 2012년 부산 해양 박물관, 2013년 충남 서천 해양 생물자원관이 들어섰으며, 2020년 경북 울진에 해양 과학교육관이 문을 연다. 인천은 2023년께 해양 박물관을 조성할 참이다.
충북은 내륙과 해양의 특성을 두루 갖춘 해양과학관을 세울 계획이다. 내년부터 2024년까지 1046억원을 들여 청주시 정상동 밀레니엄 타운 안 1만5406㎡에 해양과학관 건립에 나선다. 이곳에 △해양 환경 △바다 체험 △해양 모험 △해양 바이오 △해양 로봇 △해양 놀이 시설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강명 충북도 농업정책과장은 “미래 해양 교육, 문화, 과학 관련 다양한 기술·정보 등을 미래 해양과학관에 담아 내륙의 청소년과 국민 등도 자연스레 바다를 공유하게 하겠다. 국가 균형발전과 해양과학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사진 충북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