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8년 3월 드론으로 바라본 세종시 금강. 세종보와 공주보 개방으로 빨라진 유속으로 씻겨나가는 녹조와 뻘, 드러난 모래톱이 보이고 있다. 세종/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지난 2018년 3월 드론으로 바라본 세종시 금강. 세종보와 공주보 개방으로 빨라진 유속으로 씻겨나가는 녹조와 뻘, 드러난 모래톱이 보이고 있다. 세종/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광고

금강 하류와 접한 지방정부 4곳이 강바닥을 준설해 유람선을 띄우는 ‘금강 뱃길’ 사업을 추진하자 환경단체들이 ‘제2의 4대강 사업’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시민사회단체 51곳으로 꾸려진 금강유역환경회의는 20일 성명에서 “금강 뱃길 조성사업은 금강을 다시 죽이는, 4대강 사업의 망령을 되살리는 사업”이라며 “사업 타당성 조사용역을 철회하라”고 밝혔다.

지난 15일 충남 부여·논산·서천과 전북 익산 등 지방정부 4곳이 참여한 금강수상관광상생발전협의회는 ‘금강 뱃길 조성사업’과 관련한 조사용역 착수보고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조사용역 수행자인 ㈔한국종합기술은 부여 구드래공원~서천군 신성리갈대밭 총 42㎞ 구간의 수심을 측량하고 금강 바닥과 옆을 준설하는 내용의 사업 구상을 발표했다. 사업 구상에는 유람선을 띄우기 위한 뱃길의 길이와 강폭을 각각 50㎞와 40m로 정하고 이 기준에 맞춰 강을 준설할 경우 준설토를 처리하는 방안 등도 담겼다.

광고

지역 환경단체들은 강을 준설하고 배를 띄우기 위해 하굿둑을 막는 ‘금강 뱃길’ 사업은 금강의 자연성 회복에 역행하는 사업이라고 비판한다. 박은영 대전충남녹색연합 사무처장은 “금강 뱃길 사업은 4대강 사업과 닮을 꼴이다. 금강이 막힘 없이 흘러 자연성을 회복하고 하구 생태환경을 복원하는 것이 뱃길 만들기보다 먼저”라고 했다.

서천군 관계자는 “금강하굿둑을 막아서 생기는 생태 문제는 특별히 고려된 바 없지만 추후 충분히 논의될 수 있다”며 “현재 기획 단계라 앞으로 예산 확보 및 타당성·경제성 분석 등 갈 길이 멀다”고 했다.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