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첫 학교 내 감염이 발생해 등교 중단 조처가 내려진 대전 동구 천동초 5학년 복도 신발장에 덩그러니 실내화가 놓여 있다.
대전에서 첫 코로나19 ‘학교 내 감염’이 발생해 초등학생 2명이 확진됐다. 교육청의 소극적인 대응이 사태를 키웠다는 비판이 나온다.
대전시는 30일 동구 천동초등학교 5학년생 2명(대전 120·121번째)이 코로나19에 확진됐다고 밝혔다. 전국 첫 교내 전파 사례다. 이들은 대전 115번째 확진자(천동초 5학년)와 동급생으로 한명(120번)은 같은 반, 나머지 1명(121번)은 다른 반이다. 같은 반인 115번과 120번 확진자는 수업은 다르지만 같은 학원에 다녔고, 115번과 121번 확진자는 같은 합기도 체육관을 다녔다.
시 보건당국은 이날 대전 113번째 확진자(40대·어린이집 원장)의 자녀인 114번째 확진자(충남중 3년)와 115번째 확진자의 접촉자로 분류된 학생·교사 등 157명을 검사한 결과, 이들 2명을 제외한 나머지 155명은 음성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결과는 천동초 5학년 중 2개 반 학생만 검사한 것으로, 나머지 5학년생에 대한 검사는 현재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학교 5학년 재학생은 7개 학급에 167명, 전교생은 1048명이다.
첫 학교 내 감염이 발생하자 지역에서는 “우려하던 일이 현실이 됐다. 시 교육청의 소극적인 대응이 사태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대전·광주·전주 지역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잇따라 발생하자 교육부와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21일 이들 지역에 대해 수도권처럼 학교 내 밀집도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검토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등교 인원 조정은 광역 교육청이 교육부와 협의해 정할 수 있는 사안이다. 대전시교육청은 등교 인원을 3분의 2의 수준으로 제한하고, 학교 내 학생 밀집도를 3분의 1로 낮출지는 각 학교장의 판단에 맡겼다가 학교 내 감염이 발생하자 뒤늦게 이날 동구 관내 중학교에 한해 등교 인원을 전체 학생의 3분의 1로 낮추기로 했다.
1일 첫 학교 내 감염이 발생한 대전 동구 천동초 5학년 교실의 모습.
이에 앞서 시 교육청은 지난 29일 대전 첫 학생 확진자(114·115번)가 발생한 뒤 ‘동구 전체 학교에 대해 2주간 등교 중지 조처해달라’는 대전시 요청을 거절하기도 했다. 남부호 대전시교육청 부교육감은 ”학교에서 확진자가 나왔다고 해서 그 지역 전체 학교의 등교를 중지하는 것은 ‘교육 격차’ 문제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수도권 등 전국 다른 지역에서 학교 내 감염이 발생한 적도 없다. 학교가 가장 안전한 곳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한 바 있다. 같은 날 설동호 대전교육감은 업무협약(MOU) 체결 차 국회도서관을 방문해 비난을 사기도 했다. 설 교육감은 1일 기자회견에서 “역학조사가 진행되고 있어 학교가 감염경로인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며 “학생의 건강과 안전이 가장 중요하지만, 학습권 보장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이에 대해 이경호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운영위원장은 “대전시교육청은 교육부의 지침 외에 자체 대응 계획이나 능동적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며 “시 교육청은 코로나19 대응 전담팀을 꾸리는 등 더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글·사진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