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양대, 대전대, 목원대, 배재대, 충남대 등 대전 지역 5개 대학 총학생회 관계자들이 12일 충남대 학생회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각 학교에 등록금 반환을 요구하고 있다.
“대학에서 코로나19의 가장 큰 피해자는 교수, 교직원도 아닌 ‘학생’입니다. 어떻게 우리 권리를 보상받아야 하나요?”
대전 지역 5개 대학(건양대, 대전대, 목원대, 배재대, 충남대)의 총학생회는 12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어 각 대학에 등록금 반환을 요구했다. 이들은 “코로나19 상황에서 학생들은 제대로 된 수업을 받지 못했고, 침해받은 권리를 이해받지 못한 채 한 학기가 마무리됐다”며 “시설유지 비용, 실험 실습비용 등과 같이 학생들 학습권과 복지를 위해 편성됐으나 사용 못 한 돈을 학생에게 돌려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교직원의 급여 지급 등을 이유로 ‘어쩔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는 대학의 태도를 비판했다. 성광현 건양대 총학생회장은 “건양대는 1천억원대 적립금을 보유하는데도 등록금을 단 1%도 환불하지 않고 있다. 학생은 학교의 돈줄이 아니다”며 “학교는 천재지변 때문에 교직원에게 월급을 안 줄 순 없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 사태로 학습권 보장을 받지 못하고 학교 시설도 이용하지 못한 학생들의 피해는 어떻게 구제받나”라고 말했다.
등록금에 더한 경제적 손해도 언급됐다. 정민기 배재대 총학생회 사무총장은 “(혼란 속에서) 연초에 방을 계약한 학생들은 결국 빈방에 월세만 지불했다”며 “이런 스트레스가 학기 내내 학생들을 괴롭혔다”고 호소했다. 이정환 대전대 총학생회장은 “유례없는 혼란 속에서도 학교는 학생을 최우선으로 보호해야 한다. 학생이 최대 피해자가 되게 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이들 총학생회는 이날 등록금 반환 투쟁을 선언했다. 각 학교의 미온적인 대응을 더는 두고 보지 않았겠다는 다짐이다. 이원균 충남대 총학생회장은 “지난 6일 같은 지방거점 국립대인 전북대의 등록금 반환 소식을 접하고, 이것이 불가능한 싸움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됐다”며 “충남대 총학생회는 ‘등록금 반환을 위한 투쟁위원회’를 발족해 활동하고, 2학기가 되기 전 등록금 반환을 반드시 이뤄 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충남대는 곧 등록금 반환 계획을 내놓을 참이다. 충남대 관계자는 “등록금 반환에 관한 검토는 계속 진행해왔고, 조만간 그 결과물을 발표할 계획”이라며 “반환의 방식이나 규모 등 구체적인 내용을 아직 정하지 않았으나 학생들의 요구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건양대·대전대·목원대·배재대 쪽은 “논의 중이나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정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글·사진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