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에 거주하는 탈북여성들은 자녀 양육에서 가장 어려운 점으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첫손에 꼽았다. 충남도 제공
탈북여성의 자녀는 5명 가운데 1명꼴로 학교에 다니지 않았고, 대부분 혼자 집에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교생활 적응을 돕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충남도 인권센터는 17일 도청에서 ‘충남도 탈북여성 인권 실태조사’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열었다. 이 센터는 천안·아산·당진·보령·서산 등 5개 지역의 탈북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했다. 센터의 조사 내용을 보면, 탈북여성 자녀의 취학률은 78.6%였으나 ‘학교에 다니지 않는다’는 응답도 21.4%에 달했다.
학교에 다니지 않는 이유로는 50%가 ‘학교에 다니기 위해 준비 중’, 12.5%가 ‘학교 공부를 따라가기 힘들어서’로 나타났다. 학교에 다니지 않는 경우 주로 ‘집에 혼자 있다(63.6%)’고 응답했다. 학교에서 차별·배제·따돌림·소외 등 경험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10.9%가 ‘그렇다’고 답했고, 학교생활이 어려운 이유는 ‘학교수업 따라가기’(43.5%), ‘친구 관계’(23.9%)가 꼽혔다.
또 탈북여성의 자녀가 어린이집·유치원·학교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한국말을 잘 몰라서’가 37.5%, ‘따돌림 등 친구 관계의 어려움’과 ‘자녀의 장애나 정서적 문제’가 각각 25%, ‘학업을 따라가기 어려움’이 12.5% 등으로 집계됐다.
영유아 건강검진과 관련해선 16.9%가 ‘받지 않았다’고 응답했는데, 받지 않은 원인으로는 ‘검진 시기를 놓쳐서’(36.4%)에 이어 ‘검진정보를 알지 못해서’와 ‘시간을 낼 수 없어서’가 각각 27.3%였다.
김혜영 충남도 인권센터장은 “탈북여성들은 자녀의 돌봄 지원, 학습 지원, 학원비 지원, 예체능교육비 지원, 초등학교에서 따돌림 예방대책 지원 등을 원했다. 행정당국·교육당국은 물론 지역 공동체가 함께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