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충북시민대책위원회와 북이면 주민협의체가 2일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앞에서 북이면 소각시설 주변 주민 건강영향 조사 재조사를 촉구하고 있다.
소각시설 건강 피해를 호소하는 충북 청주 북이면 주민과 환경단체가 환경부에 북이면 소각시설 주변 주민 건강영향 조사 재조사를 요구했다.
미세먼지해결을 위한 충북시민대책위원회(미세먼지 충북대책위)와 북이면 주민협의체는 2일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환경부가 진행한 북이면 소각시설 주변 주민 건강영향 조사는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지 않았다. 소각시설의 이익을 대변하고, 업체에 면죄부를 준 조사였다. 주민이 납득할 수 있게 재조사하라”고 촉구했다. 미세먼지 충북 대책위는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 등 충북지역 시민단체 30곳이 꾸렸다.
북이면 주민 1523명은 지난 2019년 4월22일 환경부에 소각시설 관련 주민 건강영향 조사를 청원했다. 당시 북이면 주민협의체는 “1999년 북이면 일원에 소각장이 들어선 뒤 10년 사이 암으로 60명(폐암 31명)이 숨졌으며, 호흡기·기관지 질환자 45명이 발생했다. 소각장이 의심된다”고 밝혔다. 북이면엔 1999년 ㅇ업체가 하루 15톤 규모의 소각시설을 운영한 이후 ㅋ, ㅌ 업체가 가세하면서 2017년 기준 하루 소각 용량은 543.8톤으로 늘었다. 전국 폐기물 소각 용량 6.5%가 북이면에 몰려있다.
이에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2019년 12월부터 지난 3월까지 충북대 의과대학, 한국유로핀즈분석서비스 등에 맡겨 조사를 진행했다. 환경부는 지난달 13일 조사 결과 발표에서 “소각시설 배출 유해물질과 암 발생 역학 관련성을 입증할 만한 과학적 근거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사실상 소각시설 쪽 손을 들어주자 환경단체와 주민들은 반발했다.
미세먼지 충북 대책위는 “소각시설에서 배출되는 다이옥신, 카드뮴 등 오염물질이 대조지역보다 높았지만 허용 기준치보다 낮다는 이유로 암 등 질병과 연관성을 부정했다. 북이 주민 소변 검사에선 카드뮴 농도가 성인 평균보다 최대 5.7배 높았고, 남성은 담낭암 발생이 2.63배, 여성은 신장암 발병이 2.79배 높았지만 역시 인과 관계가 없다고 판단했다. 납득할 만한 자료와 근거를 제시하라”고 밝혔다. 또 “북이 주민들은 20년에 걸쳐 조금씩 죽어가고 있다. 20년 축적된 피해를 조사관 13명이 1년 남짓 조사한 데다, 전문기관·전문가 등의 폭넓은 자문 없이 서둘러 마무리한 의혹이 짙다”고 비판했다.
유민채 북이면 주민협의체 사무국장은 “환경부는 북이면에서 다이옥신 등 오염물질이 다른 지역에 견줘 3~4배 이상 더 많이 나왔는지 등에 대해 철저하게 규명하라. 환경부는 주민 건강영향 조사를 제대로 다시하라. 목소리가 적고 고령화된 농촌에 폐기물을 버리는 폐기물 정책도 개선돼야 한다”고 밝혔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사진 미세먼지해결을 위한 충북시민대책위원회 제공
▶한겨레 충청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