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대전 유성구 덕진동 한국원자력연구원 국제연수관 앞에서 대전 원자력시설 환경감시센터 개소식이 열렸다. 환경감시센터는 이 건물 1층에 마련됐다. 대전시 제공
대전 지역 원자력 관련 시설을 상시 감시하는 기구가 활동을 시작했다.
대전원자력안전 시민참여위원회는 9일 지역 안의 원자력시설을 감시하는 상설 환경감시센터를 개소했다고 밝혔다. 대전원자력안전 시민참여위원회는 지역 내 원자력시설에서 발생하는 사건·사고를 예방하고자 지난 2월25일 꾸려진 비영리시민단체로, 위원회는 산하에 환경감시센터를 두기로 결의했다.
대전 원자력시설 환경감시센터는 대전 유성구 덕진동에 있는 한국원자력연구원과 주식회사 한전원자력연료 등을 감시하게 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에는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와 중·저준위 방사능 폐기물이 있고, 한전원자력연료는 국내 유일의 원자력 연료 제조업체다.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는 지난해 1월 세슘과 코발트 등 인공방사성 핵종이 연구원 주변 우수관으로 방출되는 등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한전원자력연료에서는 지난해 8월 폭발 사고로 우라늄 가스가 누출되기도 했다. 과학비즈니스 벨트에 구축 예정인 중이온 가속기도 감시 대상이 될 예정이다.
앞으로 환경감시센터는 모니터링 대상인 시설 내부와 주변의 토양·수질 상태를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등 활동을 하게 된다. 감시 대상인 각 기관은 환경감시센터의 정보공개 요청에 응해야 하고 환경감시센터도 환경 모니터링 결과를 기관들과 공유하기로 했다. 환경 감시 결과 기준치 이상의 방사성 물질이 확인되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원자력안전위원회에 통보하게 된다.
대전시 관계자는 “연구용 원자로의 경우 원자력발전소와 달리 환경감시센터 운영을 위해 직접 국비 지원을 받을 법적인 근거가 없다. 지난해 한국원자력연구원이 환경감시센터 설립을 주요 사업 과제로 정해 예산을 확보했고, 올해 센터를 설립하게 됐다”고 말했다.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
▶한겨레 충청 기사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