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시사회단체협의회가 31일 오전 강원도 원주시 원주의료원 사거리에서 ‘일본 수출규제 및 독도 영유권 억지 주장 범시민 규탄대회’를 열고 있다. 원주시 제공
일본의 수출규제 조처와 독도 영유권 억지 주장에 대해 강원 원주지역 사회단체가 규탄대회를 여는 등 반발하고 나섰다. 유통업체와 축제, 치과병원에 이어 사회단체 등으로 일본 불매 운동도 점차 확산하고 있다.
원주시사회단체협의회는 31일 오전 11시 원주의료원 사거리에서 ‘일본 수출규제 및 독도 영유권 억지 주장 범시민 규탄대회’를 열었다. 이날 규탄대회에는 원주시 사회단체 회원과 시민 등 500여명이 참가, 일본 정부의 부당한 수출규제 조처와 독도 영유권 주장 철회 등을 촉구했다.
장각중 원주시사회단체협의회장은 “이번 규탄대회를 시작으로 바르게살기운동원주시협의회와 이·통장연합회, 주민자치위원장협의회, 새마을회 등 10개 사회단체가 중심이 돼 대대적인 일본 제품 불매 운동 캠페인을 전개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원주시사회단체협의회는 지난 29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일본 정부가 경제보복 조치를 철회할 때까지 불매 운동을 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원창묵 원주시장도 지난 25일 정례브리핑에서 공공부문 일본산 제품 구매 중단과 관련 조례 제정 검토 등 일본의 수출규제에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선언했다.
지역 향토기업 등 유통업체의 일본 제품 불매 운동도 활발하게 벌어지고 있다. 원주지역 향토기업인 에스쥐(SG)마트는 지난 15일부터 봉화산점과 행구점에서 판매하던 맥주와 담배, 식품(과자·조미료) 등 약 100여종의 일본산 제품을 매장에서 모두 철수했다. 원주축협 하나로마트도 일본산 맥주를 판매하지 않고 있다.
원주시의 대표 축제인 다이내믹댄싱카니발에도 ‘노 재팬(No Japan·일본산 불매)’ 바람이 불었다. 원주문화재단은 9월3~8일 예정된 축제에 참여 예정이던 일본 6개팀에 대한 초청을 공식 취소했다.
의료계의 일본산 의료 장비 사용 자제 움직임도 일고 있다. 원주시 94개 치과병원장이 꾸린 원주지구 치과의사회도 최근 일본 제품 불매 운동을 결의했다. 이들은 임플란트 엔진과 핸드피스 등 일본산 의존도가 높은 치과 재료를 구매하지 않는 대신 국산이나 기타 해외 대체 제품 목록을 공유키로 했다.
한편, 강원도개발공사도 이날 오전 공사 대회의실에서 결의대회를 열어 일본의 수출규제 조처에 대한 항의의 뜻으로 △일본 제품 불매 △일본여행 금지 등 ‘노 재팬’ 운동에 동참하자고 다짐했다. 김길수 강원도개발공사 사장은 “일본이 수출규제 취소와 과거사에 대한 진심 어린 사과를 하기 전까지 모든 사업 영역에서 일본 제품 불매 운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