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천 등 6개 시·군 주민들이 18일 오전 강원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강원도 송전탑건설반대대책위원회’를 꾸려 동해안~신가평 송전선로 건설 계획을 백지화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한국전력공사의 송전탑 건설에 반대하는 주민들이 강원도 차원의 대책위를 꾸리는 등 백지화 투쟁에 나섰다.
홍천과 횡성, 영월, 평창, 정선, 태백 등 6개 시·군 주민들은 18일 오전 강원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강원도 송전탑건설반대대책위원회’를 꾸렸다. 횡성은 이미 2015년부터 대책위를 꾸리는 등 지금까지 각 시·군 차원에서 벌이던 반대 투쟁을 강원도 단위로 확대해 연대투쟁을 벌이겠다는 것이다.
문제가 된 송전탑은 한전이 신한울 원전 1·2호기와 강릉·삼척 화력발전소 등에서 생산된 전력을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500㎸ 고전압직류송전 동해안~신가평 송전선로 건설사업’으로 2021년까지 선로길이 220㎞에 송전탑 약 440기를 건설할 계획이다. 송전선로 통과 지역은 경북과 강원도, 경기도 등 3개 도, 11개 시·군이다. 이 가운데 강원도가 홍천과 횡성, 영월, 평창, 정선, 태백, 삼척 등 7개 시·군으로 가장 많다.
대책위는 한전이 진행하고 있는 입지선정위원회 자체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한전은 밀양 사태 이후 송전선로 사업이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주민대표 등으로 입지선정위원회를 꾸려 송전탑 입지를 선정하겠다고 발표했다.
대책위는 “한전이 동부구간 입지선정위원회를 꾸린지 3년 가까이 됐지만, 주민들은 입지가 선정돼 주민 의견을 수렴한다고 한 뒤에야 입지선정위원이 누구인지, 우리 동네에 송전탑이 지나간다는 것을 알게 됐다. 이것이 한전이 얘기하는 객관적이고 투명한 입지선정위원회냐”고 반문했다.
대책위는 또 500㎸ 고전압직류송전 방식의 안정성에도 의문을 제기했다. 한전은 당초 765㎸ 교류송전선로를 건설하려 했지만, 주민 반발 등을 우려해 방식을 바꿨다. 500㎸ 고전압직류송전 방식은 비용은 약 1.5배 비싸지만 765㎸ 교류송전에 견줘 전자파 발생 우려가 적고 철탑 높이도 75%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책위는 “한전은 초장거리 500㎸ 고전압직류송전 방식을 운영한 경험이 없다. 대부분의 송전망이 교류로 연결돼 있어 직류 송전방식을 함께 사용하면 사고로 인한 대규모 정전 등 기술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대책위는 이날 기자회견에 앞서 최문순 강원지사를 만나 강원도 차원의 지원도 요청했다. 이에 대해 최문순 강원지사는 “대규모 송전탑 건설은 주민·강원도와 사전 협의를 해야 했다. 한전의 일방적인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 산자부 등에 주민들의 의사를 전달하고, 강원도 차원에서도 강경하게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글·사진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