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기반 무인순찰 서비스의 개념도. 전주시는 2022~2025년 동안 14억원을 들여 드론을 통한 보안 사각지대 순찰 등을 강화할 방침이다.
전북 전주시 삼천 둔치 일대는 밤에 시민들이 산책을 많이 한다. 하지만 폐회로텔레비전(CCTV)이 구축돼 있지 않아 위험한 상황이 발생해도 제대로 대응을 못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나 드론을 통해 위험 상황을 감지해 확보한 동영상 정보를 도시통합운영센터에 보내면 경찰·소방이 연결된 통합플랫폼으로 인해 즉각 대응이 가능해진다.
전주시는 드론을 통해 각종 위험에 즉각 대응하고, 보안 사각지대를 살피는 무인 순찰시스템을 도입해 스마트도시로 나갈 것이라고 5일 밝혔다. 시는 국토교통부에서 도시문제 해결 등을 위해 수립한 ‘스마트도시 계획을 승인받아 스마트도시 건설사업 추진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2025년까지 추진할 스마트도시 계획의 4대 추진목표는 △데이터 중심의 스마트 경제도시 △시민안전 최우선 사람중심 안전도시 △첨단 정보통신기술로 자연과 융합하는 스마트 그린도시 △시민이 편안한 즐거운 문화도시 등이다. 시는 △옛도심 △역세권 △전주천변 △산업단지 △혁신도시 △종합경기장 등 6개의 공간으로 나눈 뒤 각 공간에 적합한 22개의 스마트도시 서비스를 가동할 예정이다. 사업비는 1270억원을 예상한다.
전주시가 추진할 스마트도시 계획의 목표와 추진전략.
스마트도시 서비스는 △전주형 먹거리 구독서비스 △드론기반 무인순찰 서비스 △스마트 가로등 △지능형 교통체계 △보행객체 인식 스마트 횡단보도 △생활밀착형 헬스케어 △스마트 주차장 등이다. 전주형 먹거리 구독서비스는 전주 농산물로 조리한 먹거리를 소비자가 선택한 식단에 맞춰 전국으로 배송하는 유통 경제체계이다. 드론기반 무인 순찰서비스는 드론으로 위험을 감지하면 바로 대응하는 이점이 있다.
김병수 시 신성장경제국장은 “앞으로 시민·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계획한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실현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한겨레 호남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