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민회 등은 5일 전주시청 브리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선거브로커 개입 의혹이 있는 당사자들의 신속한 수사를 촉구했다.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 제공
전북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6·1지방선거 과정에서 불거진 선거브로커 개입 의혹 사건에 대해 경찰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시민단체 관계자 등은 연루 의혹이 있는 개인과 법인 5곳을 고발했다.
전주시민회 등은 5일 전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경찰은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지난 5월 선거브로커 2명을 구속해 검찰에 송치하고, 또 다른 1명을 같은 혐의로 불구속 입건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연관된 3곳의 법인 관계자를 참고인으로 조사해 정치인에게 제공한 불법 선거자금 출처를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보도됐다. 그러나 이들과 결탁했던 정치인과 언론인, 당시 후보자들에 대한 수사는 미진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어 “민주주의가 농락당했고 그 여파가 심각하다는 점에서 경찰은 이번 선거브로커 사건에 연루된 이들에 대한 수사를 주저해서는 안 된다. 시민단체를 대표하는 활동가들은 녹취록에 나오는 우범기 전주시장 등 개인·법인 5곳(명)을 공직선거법 위반 등의 혐의로 고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우 전주시장은 지난달 30일 <한겨레>와 한 인터뷰에서 녹취록과 관련해 “과거에도 얘기했듯이, 저와 전혀 관계가 없고 사실도 아니다. 자기들끼리 한 얘기다. 당당하고 떳떳하다”고 밝혔다.
‘전북 불법선거브로커 수사를 촉구하는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일동’은 이날 전북경찰청에 공직선거법과 업무상 배임 및 횡령 위반 혐의로 우범기 전주시장 등 개인·법인 5곳(명)에 대한 고발장을 접수했다.
앞서 전주시장에 출마한 이중선 예비후보는 지난 4월 기자회견을 열어 “(브로커들이) 인사권 공유 제안을 하길래 그럴 거면 (당신들이) 직접 출마하라고 했다”라고 폭로한 뒤 후보를 사퇴했다. 경찰은 이 후보가 제출한 녹취록을 확보하고 수사해 구속 2명, 불구속 입건 1명 등 계속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녹취록에는 자치단체장 후보나 현직 정치인에게 건설업자가 돈을 건넸다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