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오후 광주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강기정 광주시장(왼쪽)과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군 공항 이전 관련 협의를 위해 만나고 있다.연합뉴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과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광주 군 공항 이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났지만 무안군이 배제당했다고 반발하며 갈등이 더 커졌다.
강 시장과 김 지사는 10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비공개로 만나 광주 군공항, 민간 공항 이전 추진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양 단체장은 공동 발표문을 내어 이전 대상지 지원사업을 확정해 함께 발표하고 소음 문제·이주 대책·지역발전 대책 등을 협의해 유치 대상 예상 지역에서 설명회와 공청회 등을 함께 적극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민간 공항 문제는 별도 논의하기로 했다.
회동이 끝난 뒤 언론 질의 응답시간에 김 지사는 민선 7기 출범 직후인 2018년 광주시, 전남도, 무안군이 체결한 ‘무안 국제공항 활성화 협약’이 사실상 파기됐다고 밝혔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2021년까지 광주공항을 무안국제공항으로 이전·통합시킨다는 내용이다. 김 지사는 “먼저 광주공항을 무안공항으로 통합시키면 군 공항 이전에 적극적으로 협력한다는 것인데 광주에서 '군공항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민간공항 이전을 논의하지 않겠다’고 밝혀 사실상 파기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무안군은 당사자를 빼놓은 채 협약 파기를 언급했다고 반발했다. 무안군은 11일 입장문에서 “협약 당사자인 무안군을 배제한 채 양 시·도가 협약을 파기한 것처럼 공식화 한 데 대해 정치적으로나 도의적으로 대단히 납득하기 어렵다”며 “군공항 이전 지역에 대한 어떠한 약속도 신뢰할 수 없으며 군 공항 이전에 대해서는 무안 전 군민은 결사반대한다는 입장을 다시 한 번 밝힌다”고 못 박았다.
무안주민 등으로 구성된 ‘광주전투비행장 무안 이전 반대 범군민대책위원회’는 19일까지 1인 시위한 뒤 전남도청 앞에서 군 공항 이전 반대 천막농성에 돌입하겠다고 예고했다. 정총무 대책위 사무국장은 “인구 9만명의 무안 의견을 듣지 않은 채 양 시·도가 자기들끼리 결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남도 대변인실은 설명문을 내어 “김 도지사의 ‘협약은 파기된 거나 다름없다’라는 발언은 2020년 12월 당시 이용섭 전 광주시장이 ‘무안국제공항 활성화 협약’을 이행하지 않기로 선언해 협약이 유명무실해졌다는 취지로 말한 것”이라며 “군 공항 문제가 해결되면 광주 민간공항을 무안국제공항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것이 전남도의 일관된 입장이며 이는 이미 국가계획에 반영됐다”고 해명했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