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광양시 포스코 광양제철소. ♣H6포스코 누리집 갈무리
포스코 광양제철소가 블리더(고로의 기체배출 안전밸브)의 무단 개방이 드러나자, 이장·통장과 협력사를 부추겨 조업 정지 처분을 무마하려 한다는 비판이 나왔다.
정의당 광양만권 환경오염대책위원회는 7일 성명을 내어 “포스코는 블리더 개방에 따른 환경오염의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 조업 정지 예고를 외부의 압박으로 무산시키려 하지 말고 사회적 협의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의당은 “포스코는 행정 당국, 환경단체, 공익 제보자가 ‘철강 산업을 죽이려 한다’고 억지 주장을 하고 있다. 광양시 이통장협의회, 광양제철소 협력사협회, 포스코광양지역협력사 상생협의회 등을 앞세워 행정처분을 취소하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어떤 기업도 국민 다수의 기본권을 침해하면서 발전할 수 없다. 끊임없는 기술 개발로 오염 발생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면 국민과 노동자로부터 외면을 받게 된다”고 비판했다.
앞서 정의당은 노-사-민이 공동으로 포스코 환경위원회를 설치해 분기별로 환경 오염 발생과 작업 환경을 점검하자고 요구했다. 정의당 광양만권 환경대책위 이경자 집행위원장은 “포스코가 환경오염물질 무단 방출에 책임있는 자세로 대응하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지난 4월24일 광양제철소가 8주마다 고로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블리더를 무단으로 개방한 사실(대기환경보전법 위반)을 확인하고 조업정지 10일의 행정처분을 통보했다. 하지만 포스코가 이의를 제기해 현재 청문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전남도는 오는 18일 청문을 열고, 25일께 행정처분을 확정한다.
포스코 협력업체 직원들은 지난 5일 오전 광양시청 일원에서 “조업 정지를 하면 지역 경제에 악영향이 우려된다”며 집회를 여는 등 반대 여론을 조성하고 있다. 철강협회도 “아직 고로의 안전밸브를 대체할 기술을 확보할 수 없는 상황이다. 국내외 철강사와 해외 고로 전문 엔지니어링사, 환경 전문가, 환경 단체, 정부와 협력해 대체 기술을 개발하는 데 힘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