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때 전주교도소(당시 형무소) 등에서 희생된 민간인 유해발굴이 오는 7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전북 전주시는 1억3343만원을 들여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 유해발굴을 위한 용역을 시행해 7월부터 전수조사(시굴발굴)에 착수하고 본발굴을 시작한다고 18일 밝혔다.
군과 경찰은 한국전쟁이 발발한 직후인 1950년 7월 전주교도소 재소자 1600여명(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추정)을 좌익 관련자라는 이유로 학살했다. 이어 그해 9월 전주를 점령한 북한 인민군은 재소자 등 500여명을 공산주의에 반하는 반동분자로 분류해 무참히 살해했다. 당시 학살된 수감자 가운데는 대한민국 건국 초기 지도자급 인사인 손주탁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과 류준상·오기열·최윤호 국회의원 등이 포함됐다. 한국전쟁 전후 벌어진 민간인 학살 매장지로 추정되는 곳은 전주 등 전국 59곳이다.
전주시는 지난해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희생자들에 대한 자료를 수집한 뒤 매장추정지 증언 등을 확보했다. 또한 토지사용 허가를 받았으며 유족과의 간담회 등도 진행했다. 시는 민간인 희생자 유해 매장지로 효자동 황방산과 산정동 소리개재 주변이 유력하다고 보고 5월부터 용역을 통해 매장지점을 파악했다. 시는 7∼10월 유해를 발굴·수습하고 신원확인을 위해 유해를 감식할 예정이다. 11월에는 최종보고회를 열고 무연고자를 위한 세종시 추모의 집에 유해를 안치할 계획이다.
최현창 전주시 기획조정국장은 “이들 지역에는 한국전쟁 전후로 전주교도소 등에서 억울하게 희생된 민간인 유해가 다수 묻힌 것으로 추정한다. 한국전쟁이 끝난 지 70년이 다 되가는 시점에서 유해발굴을 통해 아픈 역사를 치유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