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민단체가 대학진학 실적으로 참가자를 선정했다며 진로진학 교원연수의 재검토를 촉구했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19일 성명을 통해 “올해 진로진학 유공교원 국외연수 참가자 18명 중 88.8%인 16명을 일반고에서 선발했다. 사실상 고교의 대학입학 실적 위주로 선발한 대가성 국외연수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마이스터고는 1명, 특성화고는 1명이 선발되는 데 그쳤다. 특정 학교와 특정 직위를 논공행상식으로 포상하는 관행에서 벗어나 현장 교사한테도 기회를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단체는 “진로진학 교원연수는 지난 2011년 ‘선심성으로 이뤄진다’는 교육부의 지적에 따라 담당자 5명이 경고를 받으며 폐지됐다. 8년 만에 재개하는 만큼 ‘진학지도 우수교사의 국외연수를 억제하라’는 당시 감사 결과를 새겨야 한다”고 밝혔다. 이 단체 박고형준 활동가는 “경북 예천군의회의 연수가 국민의 지탄을 받은 지 얼마 지나지 않았다. 세금이 수천만원 들어가는 연수의 선발이 공정한지, 내용은 적절한지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광주교사노조도 지난 5월23일 성명을 내어 “일반고 54곳의 교원들이 대학입시에 정성을 다하는 만큼 특성화고 13곳의 교원들도 취업·진로 지도에 애쓰고 있다. 형평에 맞도록 포상 방법을 개선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광주시교육청은 지난 5월 진로진학 유공교원 연수 참가자를 모집하는 공문을 전체 고교 67곳에 보냈다. 이어 지난 7일 2016~2018년 3년 동안 활동 실적과 지속성, 기여도 등을 평가해 18명을 뽑았다. 선발자 중에는 진로전담 교사 8명, 3학년 부장 7명 등이 포함됐다. 이들을 포함한 연수단 20명은 7월22~29일 4000만원을 들여 오스트리아·체코 등 2개 국가를 방문한다. 정훈탁 광주시교육청 중등교육과 장학사는 “명문대 진학률을 기준으로 참가자를 뽑지 않았다. 일반고 교원이 많은 이유는 2017년부터 해마다 특성화고 교원 13명씩을 선발해 직업교육 연수를 따로 진행하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