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스타리 국립극장 마르친 비에슈호프스키 감독의 연극 <소년이 온다> 한 장면. 사진가 마그다 휴켈 제공
5·18민주화운동을 다룬 한강 작가의 소설 <소년이 온다>를 원작한 폴란드 연극이 무대에 오른다. 유럽에서 5·18 소재 연극이 직접 제작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폴란드 쿠라쿠프 스타리 국립극장의 마르친 비에슈호프스키 감독은 <소년이 온다>를 지난달 중순 네차례 시험 공연 무대에 올려 호평을 받았다. 그는 오는 10월 초 작품을 무대에 올릴 계획이다.
스타리 국립극장은 지난 1월 “유럽에서 5·18민주화운동 자료를 구할 수 없다”며 5·18기념재단에 도움을 요청했다. 5·18기념재단은 수차례에 걸쳐 5·18 관련 사진과 동영상 등의 자료를 보냈다. 마르친 감독은 “5·18기념재단의 도움으로 작품을 만들 수 있어 감사하다”는 내용의 편지와 연극 장면 사진들을 메일로 보내왔다.
폴란드 스타리 국립극장 마르친 비에슈호프스키 감독의 연극 <소년이 온다> 한 장면. 사진가 마그다 휴켈 제공
폴란드 판 5·18 연극은 원작에 등장하는 특정 장면들을 배우들이 재현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제작진은 “계엄군의 만행을 부각하는 것보다 5·18 항쟁의 과정이 생명을 가진 장면을 소환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전했다. 연극은 깨진 도자기를 수리하면 하나밖에 없는 새로운 도자기가 탄생한다는 동양의 예술 미학이 접합됐다고 한다.
폴란드 국립극장이 제작한 5·18 연극은 원작에 등장하는 특정 장면들을 배우들이 재현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H6사진가 마그다 휴켈 제공
실제로 원작 <소년이 온다>엔 “유리는 투명하고 깨지기 쉽지…금이 가거나 부서지면 못쓰게 되니까…우린 부서지면서 우리가 영혼을 갖고 있었단 걸 보여준 거지”라는 대목이 나온다. 마르친 감독은 고립된 광주에서 한 남자가 총탄으로 구멍이 나고 금이 간 공중전화 부스에서 외부로 전화를 거는 모습이 담긴 사진을 <동아일보> 김녕만 전 기자의 허락으로 연극 포스터 사진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폴란드 스타리 국립극장 마르친 비에슈호프스키 감독의 연극 <소년이 온다> 한 장면. 사진가 마그다 휴켈 제공
유인례 5·18기념재단 국제부장은 “유럽에서 5·18을 소재로 한 연극을 현지인들이 직접 제작하는 것은 처음이다. 광주가 당시 깨지고 피를 흘렸지만 아름답게 부활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말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