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광주본부 등 광주 지역 노동계가 12일 오전 광주광역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울산형 일자리에 반대한다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정대하 기자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추진 중인 광주광역시의 노동계가 울산형 일자리 사업에 대해 “비정규직을 양산하는 ‘불공정 일자리’”라고 이례적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친환경 자동차 부품 공장 유치를 두고도 두 도시 사이에 미묘한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 등 광주 지역 노동계는 12일 광주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광주광역시와 현대차가 광주 빛그린산단에 친환경 자동차 부품 공장을 짓겠다는 약속이 파기된 것이 아닌지 의문이다. 광주시가 추진 상황을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날 회견에는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본부 의장, 이기곤 전 기아차 노조 광주지회장 등 노동계 50여명이 참석했다.
광주지역 노동계는 또 광주에 이어 울산 등지에서 지역 상생 일자리가 잇따라 추진되면서 ‘노동 존중’이 약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현대모비스는 전국 공장 중 2곳을 제외하고 모든 공장이 비정규직을 고용한 차별적 일자리의 대명사”라며 “비정규직을 양산하고 기존 자동차 산업 종사자들의 고용을 위협하는 울산형 일자리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은 3300억원이 투입되는 울산광역시와 현대모비스의 이달 말 투자유치 협약식 체결을 앞두고 열린 것이다. 연면적 6만2060㎡ 규모로 울산에 지어지는 현대모비스 전기차 부품 전용 공장에선 800여명의 일자리가 창출된다.
송철호 울산시장이 7월29일 현대모비스 전기차 부품 공장 유치 경위 등을 설명하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이와 함께 광주 지역 노동계는 현대모비스의 전기차 부품 전용 공장 투자가 광주·전남의 빛그린산단(광주 광산구~전남 함평·407만㎡)을 친환경 자동차 전진기지로 조성하려는 광주광역시의 구상에 차질을 일으킬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광주 노동계 한 인사는 “친환경자동차 클러스터 구상에 전기차 부품 공장 유치가 필요 조건인데 울산이 선점해 버렸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광주시는 이날 오후 기자간담회를 열어 “완성차 공장을 설립한 뒤 적기에 현대모비스를 비롯한 자동차 전장부품 기업을 유치할 계획”이라며 친환경자동차 전진기지 추진에 대한 의지를 재차 밝혔다. 광주시는 지난 1월31일 현대자동차와 체결한 투자협약서 첨부 문서에서 ‘현대차는 (차종) 파생 모델 개발을 검토한다’는 문구 중 ‘파생 모델’이 친환경차라며 전기차 부품 공장 유치를 낙관하고 있다. 이병훈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은 “완성차 공장 설립 추진이 어떻게 되느냐에 유치 시기가 달려 있다”고 말했다.
6월28일 광주광역시청 중회의실에서 광주형 일자리 자동차공장 투자협약식이 열리고 있다.광주광역시 제공
이에 대해 울산시의 한 관계자는 “울산형 일자리는 기업투자 유치형으로 현대모비스가 전기차 부품 공장을 지어 800명의 고용 효과를 낸다는 것이다. 이 일자리가 정규직일지 비정규직일지는 채용하는 회사가 결정할 일이다. 이에 대해 현대모비스 쪽이 아직 공식적으로 발표한 것이 없어 속단하긴 이르다”고 말했다.
정대하 신동명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