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시민들이 지난 5월 여수시청에서 측정치를 조작한 기업들을 성토하고 있다. 여수산단 유해물질 불법배출 시민대책원회 제공
여수지역 시민단체가 여수산단의 오염물질 측정치 조작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를 촉구하고 있다.
여수산단 유해물질 불법배출 시민대책원회는 30일 전남 여수시 중앙동 이순신광장에서 오염물질 측정치를 조작한 여수산단 기업들을 규탄하는 2차 시민결의대회를 연다. 앞서 대책위는 지난 5월14일에도 엄중 처벌을 요구하는 시민대회를 벌인 바 있다.
대책위는 “지난 4월17일 여수산단의 지에스칼텍스, 엘지화학, 롯데케미칼, 한화케미칼, 금호석유화학 등 기업들이 1급 발암물질인 염화비닐 등의 배출치를 대행업체와 짜고 조작한 것으로 드러났지만 넉 달 동안 아무런 후속대책이 없다”며 국정조사를 촉구했다. 이어 “정부는 아직 측정치 조작 업체의 명단과 불법 사실마저도 제대로 공표하지 않고, 처벌마저 한없이 미루고 있다. 이런 상황에 분노한 시민들이 정부와 국회, 기업의 각성을 요구하려 한다”고 밝혔다.
시민의 요구는 세 갈래로 나뉜다. 국회에는 유해물질 측정치 조작 사건을 국정조사하고, 국가산단환경개선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다그친다. 정부에는 조사결과 공개와 엄중한 처벌, 주민건강 역학조사와 환경 위해성 평가 시행, 민간환경감시센터 설치 등을 요구한다. 기업에도 시민에게 진정으로 사과하고 환경개선과 윤리경영을 약속하는 대책을 내놓으라고 주문한다.
대책위는 다음달 6일 이낙연 국무총리를 찾아가 이런 요구를 전달하기로 했다. 대책위에는 여수환경운동연합과 지역새마을연합회, 주민자치협의회 등 시민단체 48곳이 참여하고 있다.
강흥순 대책위 집행위원장은 “이념과 분야를 초월한 시민단체들이 두루 참여해 시민 29만명의 뜻을 표출하고 있다. 이익을 좇아 생명의 가치를 고의로 내팽개친 기업들에 대응해 불매운동과 손해배상을 해야 한다는 등 여러 요구가 봇물 터지듯 쏟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