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시민들과 함께하는 광주 시민사회 관계자들이 지난 25일 광주광역시 남구 중국총영사관 앞에서 홍콩 정부의 무차별 폭력 진압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39년 전의 ‘광주’가 된 홍콩의 민주화 시위를 지지한다.”
중국 톈안먼 민주화 시위 주역인 왕단은 최근 “오늘의 홍콩은 39년 전 ‘광주가 되었다. 한국의 군부독재 시절 국제사회가 한국의 민주화운동에 관심과 지지를 표한 것처럼, 이제는 한국도 홍콩에서 일어나는 민주화 열망에 더 많은 관심과 지지를 밝혀달라”고 ‘광주’에 호소했다. 광주 지역 시민·사회단체는 “늦었지만 민주주의와 인권을 향한 홍콩 시민들의 저항에 강력한 연대의 뜻을 전한다”고 응답했다.
홍콩 반송중(중국송환 반대) 시위 사태로 사상자까지 발생하자 광주 5·18민주화운동 단체와 시민·사회단체, 정당 시당 등이 홍콩의 민주화 열망에 공개적 지지를 표명하고 나섰다.
광주의 50여 개 시민·사회단체와 정당 지부가 참여하는 ‘홍콩 시민들과 함께하는 광주 시민사회’는 “홍콩 정부는 무차별적인 폭력 진압 중단하고 집회 시위의 자유 보장하라”는 내용의 성명서를 영문으로 번역해 각계에 배포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들 단체는 성명을 통해 “광주시민과 광주시민단체, 정당 등 광주의 시민사회는 홍콩 경찰의 폭력적인 진압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한다”며 “경찰은 즉시 사과하고 여러 폭력과 의문사에 대해 조사하고 폭력 진압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지난 1일 시위 때 체포된 180여 명에 대한 석방도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홍콩과 중국 정부는 송환법 철회 이후에도 민주주의와 인권을 향한 시민들의 요구가 이어지는 이유를 직시해야 한다”며 “체포된 시위대에 대한 조건 없는 석방이 이뤄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번 성명엔 광주인권회의·광주·전남민주화운동동지회, 5·18민주유공자유족회,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 5·18구속부상자회, 5·18기념재단 등 5월단체 등이 참여했다. 한편, 5·18기념재단은 지난 8월30일 광주인권상 수상자 5명과 공동으로 “홍콩 정부와 중국이 비폭력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바란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