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민립대학인 조선대학교가 신임 총장을 임명하며 총장 부재 사태는 일단락됐지만 학사·채용 비리 의혹 해소, 학내 갈등 봉합 등 정상화를 위해 갈 길은 멀어 보인다. 조선대가 신뢰를 되찾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공영형 사립대’ 전환을 목표로 역량을 모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일 조선대학교 쪽의 말을 종합하면 조선대 법인은 오는 16일 교육부에 제출할 예정인 조선대 정상화 추진계획안을 작성하고 있다. 계획안에는 지난달 25일 교육부 사학분쟁조정위원회 결정에 따라 제3기 정이사 체제 전환 절차가 담길 예정이다.
조선대 법인 정관에는 이사진(임기 3년)을 ‘개방 이사’ 3명을 포함한 9명으로 구성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대학 쪽은 정이사 체제를 꾸린 후 학사 운영 갈등과 학생 수 감소 타개책으로 국정과제인 ‘공영형 사립대’ 전환에 집중한다는 방침이지만 일부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조선대 법인이 기존대로 이사진을 구성할 경우 이사진 절반을 정부에서 파견한 공익이사로 채워야 하는 공영형 사립대 정책과 맞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 불거진 학사·채용 비리 의혹도 발목을 붙잡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0일 전·현직 교수 10명이 공과대학 ㄱ교수 아들의 석·박사 통합학위 취득에 편의를 제공한 혐의(업무방해)로 검찰에 송치됐다. 또 조선대 산학협력단 직원 18명이 올해 5월 조선대 교직원으로 특별 채용되며 특혜 의혹이 불거져 경찰이 수사하고 있다. 대학 쪽은 정관상 문제가 없다는 주장이지만, 채용자 중 일부가 교직원 가족인 것으로 알려져 곱지 않은 눈초리를 받고 있다.
조선대 민주동우회 관계자는 “이번에 불거진 학사 비리의 경우 학생 수 감소로 생존 문제에 직면한 대학원이 학생 수를 유지하기 위해 관행적으로 저지른 일이다. 학교도 자성해야 한다. 다만 이러한 내부 문제점이 바깥에 알려진 배경에는 결국 학내 파벌싸움이 자리잡고 있다. 학내 갈등을 정리하지 못한다면 공영형 사립대는 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했다.
황법량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활동가는 “내부 분열이 심했던 조선대가 시민의 신뢰를 되찾으려면 개방형 이사를 늘려 지역민과 함께 운영하고 견제와 비판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