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신시가지 안에 위치한 옛 대한방직 터. 지금은 공장을 가동하지 않고 있으며 주변에 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전북도청 19층 옥상에서 본 모습. 박임근 기자
전북 전주의 노른자위인 옛 대한방직 터(23만여㎡) 활용을 논의할 공론화위원회 구성에 앞서 사전준비위원회가 꾸려졌다.
전주시는 전북도청 옆에 위치한 옛 대한방직 터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듣고 앞으로 활용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공론화위원회를 공정·투명하게 구성하고 추진을 위한 공론화 사전준비위원회를 출범했다고 7일 밝혔다. 사전준비위원회는 이희진 ㈔한국갈등해결센터 이사를 비롯한 전문가·시민단체 등 모두 7명으로 구성했다. 공론화위원회가 구성될 때까지 활동할 사전준비위원회는 앞으로 위원 구성, 공론화 방식 결정, 주요 의제 선정 등을 폭넓게 검토한다.
전주시는 지난해 11월부터 공론화위원회를 추진을 위한 계획을 수립했다. 공론화위를 가동하면 △사회적 갈등 최소화 △토지소유자에 대한 특혜 논란 차단 △투명한 시정운영을 통한 행정 신뢰 양상 △시민들이 직접 정책결정에 참여하는 풀뿌리 민주주의 실현 등이 이뤄질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앞서 2017년 이 터를 약 2천억원에 사들인 자광은 모두 2조5천억원 규모의 대형 개발계획을 내놓았다. 143층(430m) 높이의 익스트림 타워를 비롯해 60층짜리 3천가구 규모의 아파트, 호텔 등을 건설할 계획이다. 그러면서 자광은 토지용도 변경에 따른 특혜 논란을 없애기 위해 도로와 공원 등 공공용지를 시에 기부채납하겠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전주시는 장기적 도시개발 계획 등과 맞지 않는다며 제안서를 보류한 뒤, 공론화위원회를 통해 해법을 찾기로 했다. 최무결 전주시 생태도시국장은 “옛 대한방직 터를 언제까지 그냥 둘 수는 없는 만큼 준비위원회를 거쳐 공론화위원회에서 합리적 대안을 찾을 것이다. 공론화위원회가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도록 공정하고 투명한 운영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