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전북도청에서 전북지역 10개 대학 총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코로나19와 관련한 긴급 유관기관 대책회의가 열렸다. 전북도 제공
‘코로나19’와 관련해 교육부가 대학 학사운영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가운데, 빠른 대응에 나선 전북지역 대학들이 속앓이하고 있다. 국가적 비상상황이어서 개강 연기 등 학사일정 조정에 정부 권고를 적극 따르고 있으나, 비용은 대학이 감수해야 하는 탓이다.
교육부는 지난 12일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학사운영’ 가이드라인을 각 대학에 전달했다. 대학 개강 연기에 따른 안정적 학사운영을 위한 것으로, 주말·아침·저녁 수업 활용, 온라인 원격수업 확대, 중국인 유학생의 휴학·출석 인정 지침, 등록금 징수기일·반환기준 등을 안내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재원마련 근거는 나와 있지 않다. 지난 5일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대학 개강 연기 권고 브리핑을 할 당시 방역물품 구매, 온라인 강의 추가 제작비용, 감염병 예방·관리비용 등에 대해 추가 재정지원을 검토한다고 밝혀 대학들은 재정지원 가능성을 기대했었으나,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 전북지역 대학들은 일반수업과 동시에 주말 수업, 온라인 원격수업 등을 개설해야 하고, 중국인 유학생 격리에 필요한 방역비용 등까지 고려하면 취약한 대학 재정 형편으로 감당하기 버겁다는 입장이다.
새학기를 앞두고 입국 예정인 전북지역 10개 대학 중국인 유학생은 신입생 588명, 재학생 3424명으로 모두 4012명이다. 완주군은 관내 대학 중국인 유학생 629명을 2주간 기숙사에 격리하면 식비와 방역비 등 모두 3억6천만원가량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완주군 등은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에 정부 지원을 공식 건의할 예정이다. 중국인 유학생 370명가량이 입국할 군산대는 유학생을 25~27일 일괄 입국하도록 한 뒤, 공항에서 버스를 이용해 학생생활관으로 입소시킬 계획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전북지역 대부분 대학이 기숙사 1인1실 격리가 가능하지만, 이는 국내 학생과 또다른 외국인 유학생들이 2주간 이용하지 못하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해 선택에 어려움이 있다. 이 문제를 정부가 풀어줘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전북지역 한 대학 관계자도 “격리시설 모색과 밀착 관리에 총력을 다하겠지만, 대학 내 인력과 재정만으로는 한계가 분명하다”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