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전북대학교 옛 정문 앞에서 올해 처음 투표권을 얻은 청년들이 친일정치 불매 캠페인 동참을 촉구하고 있다.
“친일정치 불매선언에 동참해주세요.”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올해부터 투표에 참여하는 청년들이 ‘친일정치 불매 캠페인’ 참여를 촉구하고 나섰다. 친일잔재 청산을 위해 21대 국회가 할 일이 무엇이고, 어떤 법을 제정해야 하는지 자신들의 목소리를 들어달라는 것이다.
‘투표는 처음이라’는 모임을 만들어 친일정치 불매운동을 벌이는 이들은 14일 “온라인 활동과 캠페인을 통해 유권자들이 올바른 역사인식을 기준으로 투표할 것을 제안하고, 21대 총선 후보들에게 친일청산 4대 입법뿐만 아니라, 한국사회 친일청산에 대한 입장을 묻는 공개질의를 진행해 답변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오늘(2월14일)은 안중근 의사 사형선고일이다. 이날의 의미를 기억하며 선거법 개정으로 오는 4월15일 총선에서 첫 투표를 하는 우리가 자발적인 유권자 운동을 시작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지난해 7월 한 정치인이 ‘일본 수출규제에 대한 정부 여당의 반응을 선동이라고 말하며 지금은 친미·친일을 해야 할 때’라고 막말을 했다. 또다른 정치인은 ‘해방 후 반민특위(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로 인해 국민이 분열했다’고 발언하며 왜곡된 역사인식을 극명하게 드러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제 할 일을 하지 않는 국회는 이제 변해야 한다”며, 앞으로 구성될 21대 국회에 △친일 반민족행위자 재산환수법 제정 △반민족 행위자의 서훈 취소가 가능한 법 개정 △친일파 국립묘지 이장을 위한 법 개정 △친일망언 역사 왜곡 처벌법 제정 등을 요구했다.
14일 전북대학교 옛 정문 앞에서 청년들이 친일망언 설문에 참여해 스티커를 붙이고 있다.
대학 입학을 앞둔 한은순(18)씨는 “선거법 개정으로 처음으로 투표하게 되지만, 주변에서는 이런 사실을 몰라서 뜻을 같이한 친구들과 캠페인을 시작했다.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등을 통해 홍보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팀장을 맡은 그는 “행사일을 정하면서 독립만세를 외친 3월1일과 밸런타인데이로만 알려진 2월14일을 두고 고민했다. 더 의미를 찾기 위해, 110년 전 안중근 의사가 사형을 선고받은 2월14일을 택했다”고 덧붙였다.
글·사진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