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열린 광주형 일자리 완성차 공장 합작법인 ㈜광주글로벌모터스 공장 기공식. 광주시 제공
광주형 일자리 노사상생 취지를 살리려면 합작공장 신설법인 박광태 대표 등 임원 3명을 교체해야 한다는 노동계의 주장이 청와대 쪽에 전달됐다. 한국노총은 이런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조만간 광주형 일자리 사회적 합의 파기를 선언할 방침이다. 광주형 일자리를 두고 갈등을 빚어온 노동계와 신설법인이 결별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인 광주형 일자리가 ‘반쪽짜리’로 전락할 위기에 빠졌다.
24일 한국노총 쪽의 말을 종합하면,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 최근 청와대 쪽에 “㈜광주글로벌모터스 박 대표와 박광식 부사장, 오순철 경영본부장 등 주요 임원 3명을 전문가로 교체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된 건의문을 전달했다. 지난해 9월 신설법인 출범 이후 노사상생이라는 광주형 일자리의 의미를 무색하게 한 걸림돌로 주요 임원 3명을 지목한 셈이다. 박 대표는 전직 광주시장이고, 박광식 부사장은 현대차 퇴직자다. 한국노총은 건의문을 통해 “보은인사에 대한 반감이 확대되고 있다. 각계각층 추천으로 임원이 새롭게 구성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광주형 일자리 완성차 공장 법인인 ㈜광주글로벌모터스는 광주·함평 일대 빛그린국가산업단지에 공장 5개동을 짓고 있다. 광주광역시 제공
한국노총의 이런 건의는 광주형 일자리 노동계 불참 선언을 앞둔 시점에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한국노총 본부는 다음달 7일 청와대 앞 광장 또는 더불어민주당 당사에서 광주형 일자리 사회적 합의 파기 선언식을 열 예정이다. 한국노총의 사회적 합의 파기는 광주시와 현대차의 투자협약 체결에 밑돌이 됐던 노사상생발전협정서가 사회적 의미를 잃게 되는 것을 뜻한다.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본부 의장은 이날 “합의 파기 여부 결정을 본부에 위임했다”고 했다.
한국노총은 광주형 일자리가 노사상생 취지를 살려 제자리를 잡기 위해 ‘지역사회 협의체’ 구성도 제안했다. 한국노총은 “노동계 및 시민·사회단체에서 추천하는 위원들이 참여해 ‘지속가능한 노동존중 사회통합 일자리 협의회’를 발족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이 협의회에서 광주형 일자리 적정 임금과 적정 노동시간, 원·하청 상생 방안, 노사 책임 경영 등 4대 의제를 실현하는 방안을 마련하자는 것이다.
광주시는 한국노총의 이 건의문을 청와대 쪽에서 전달받았지만, 노동계를 설득할 뾰족한 해법을 찾지 못해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광주시 한 관계자는 “시가 별도법인인 ㈜광주글로벌모터스의 임원 교체 문제에 대해 어떻게 하라고 요구할 수 없다. 시민사회단체의 의견을 듣는 등 노사상생 취지를 살릴 대안을 찾고 있다”고 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