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 제21대 총선후보자 10명이 지난 9일 전북 전주시 효자동 전북도당에서 합동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연합뉴스>
4·15총선 후보 등록이 26일부터 시작한 가운데, 후보들의 공약과 견해를 알 수 있는 선거토론회를 상당수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기피하면서 깜깜이 선거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는 민주당 텃밭인 전북에서 상대적으로 우위를 점한 대다수 민주당 후보들이 ‘공천=당선’이라는 인식 속에 자신의 약점을 가급적 노출시키지 않으려는 전략적 판단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사회적 거리두기와 대면 선거운동 자제 분위기 탓에 유권자가 후보의 공약·정책은 물론이고 얼굴·이름도 제대로 모른 채 투표해야 하는 형편이다.
전북의 한 민주당 후보는 언론사 주최 토론회 불참 이유를 “현재 상황에서 본인의 후보토론(회) 참석은 본격적인 선거운동(4월2일 이후)을 떠나 큰 부담일 수밖에 없다. 토론을 통한 인물·정책 검증 못지 않게 후보를 직접 만나고 싶다는 주민의 요청을 들어드리고, 그분들의 소중한 의견을 낮은 자세로 경청하는 것도 중요하다. 많은 고민 끝에 법정 후보토론만 참석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야당과 무소속 후보들은 민주당 후보를 향해 토론회 참여 목소리를 높이지만 이뤄지지 않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 선거대책위원회는 “각 선거구 출마 후보자들이 각각의 일정이 있기 때문에 시간 조율이 안 돼 토론회에 참석을 못하는 것으로 안다. 후보자들도 웬만하면 나가보겠다는 입장이지만 죄송하다는 말 밖에 드릴 수 없다”고 해명했다.
전북기자협회는 26일 ‘토론회 불참은 유권자를 무시하는 오만’이라는 제목의 성명을 내어 토론회 참여를 촉구했다. 이들은 “전북지역 10개 선거구에 출마한 민주당 후보 상당수가 한 차례 열리는 법정 토론회에만 참석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경쟁후보의 검증 제안과 언론사 주관 정책토론회는 애써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이는 유권자의 알권리를 가로막는 반민주적인 행위”라고 지적했다. 또 “코로나19로 정치이슈가 매몰되고 우후죽순으로 쏟아지는 가짜뉴스가 유권자를 혼란스럽게 한다. 민주당 후보들은 소중한 검증의 장에 제 발로 나서 자신이 왜 민의를 받들 후보인지를 설명하고 유권자와 제대로 소통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