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와 전남 함평 일원에 건설중인 빛그린국가산업단지. 광주형 일자리 완성차 공장 합작법인 ㈜광주글로벌모터스는 빛그린 산단 내에 건설된다. 광주시 제공
정부의 ‘사회통합형 일자리 사업’의 모델이 된 광주형 일자리 사업과 관련해 시민단체가 노동계와 간담회를 열 예정이다. 광주시와 광주지역 시민단체가 애초 열려던 간담회는 연기됐다.
광주형 일자리 상생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꾸린 광주지역 10개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원탁회의’는 13일 “광주시와 열 예정이었던 간담회를 연기한다”고 밝혔다. 원탁회의는 신설법인 ㈜광주글로벌모터스 임시주주총회와 노사민정협의회 결의 등으로 노동계가 압박을 느끼는 상황에서 곧바로 광주시-시민사회간담회는 노동계에 또 다른 압박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해 이렇게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원탁회의는 그동안 세차례에 걸쳐 중재안으로 ㈜광주글로벌모터스에 시민이사제를 도입하라고 건의하는 문제를 논의해왔다. 하지만 한국노총 광주본부 등 지역 노동계에선 시민이사제를 도입하는 것에 찬성하지 않는다고 일축해왔다. 원탁회의 한 관계자는 “한국노총 광주본부 관계자 등 노동계 관계자들부터 만나 광주형 일자리와 관련한 의견을 먼저 듣고 광주시를 만나는 게 순서라는 의견이 많았다”고 말했다.
한편, 재단법인 광주그린카진흥원(광주시)과 현대차 등 36개사가 투자해 만든 광주글로벌모터스 주주들은 ‘29일까지 노사상생발전협정서 이행 및 정상화가 되지 않으면 사업 진행 여부 등의 조치를 주주총회를 통해 소집해 결정한다’고 결의한 바 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