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시민사회단체가 28일 오전 전북도의회 브리핑룸에서 성추행 혐의를 받는 정읍시의원 제명을 촉구했다. 박임근 기자
전북지역 50여개 시민·사회단체가 동료의원을 성추행한 혐의로 피소된 정읍시의회 ㄱ의원의 제명을 촉구하고 나섰다. 전북민중행동, 전북여성단체연합, 정읍시민단체연대회의 소속 회원들은 28일 전북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읍시의회는 당장 윤리특별위원회를 열어 ㄱ의원을 제명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동료 의원을 강제추행한 혐의를 받는 ㄱ의원이 지난 8일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송치됐지만, 정읍시의회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아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 피해자와 가해자 두 의원이 지금도 같은 상임위원회에서 활동해 ‘2차 피해’가 계속되고 있다”며 의회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들은 “지난달 19일 정읍시의회 의장을 면담했을 때, 규정에 정해진 대로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윤리특위가 한 차례도 열리지 않은 채 수수방관만하고 있다. 대전시 중구의회는 지난해 6월 동료 의원의 성추행 사건이 발생하자 바로 의회 자체 제명을 확정했고, 오거돈 부산시장도 성추행 사건으로 스스로 시장직에서 즉각 사퇴했다. 정읍시의회의 행태가 얼마나 성폭력 사건에 대해 둔감한지 개탄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ㄱ의원은 지난해 10월 의원들 회식 장소에서 동료인 ㄴ의원을 성희롱하고 껴안는 등의 혐의로 검찰조사를 받고 있다. 피해자 ㄴ의원은 “ㄱ의원이 1년 가까이 상습적으로 성관계를 암시하는 말을 하며 성희롱했고 추행했다. 그러면 안 된다고 몇 번이나 만류했는데도 반복했다”는 취지로 진술했다. 연대회의는 “증거가 있는 것만 이렇고 수시로 성희롱과 추행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ㄴ의원은 지난 2월 ㄱ의원을 강제추행 혐의로 고소했다. 정읍시민단체연대회의는 지난 3월3일 기자회견에서 2차 피해를 입지 않도록 후속 조치 등을 요구했다. 또 연대회의는 3월9일부터 정읍시청 앞에서 가해자 사과와 의원직 사퇴를 요구하며 지금까지 피켓시위를 진행하고 있다.
전북지역 시민사회단체가 28일 전북도의회에서 정읍시의회의 성추행 사건 진상조사와 해당자 징계 등을 촉구했다. 박임근 기자
ㄱ의원은 문제가 불거지자 지난 2월 민주당을 탈당했다. 하지만 4·15총선을 앞둔 지난 1일 민주당 정읍·고창 후보 선거출정식인 충혼탑 참배행사에 참석해 사실상 민주당 후보 선거운동을 벌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읍시의회는 지난 27일 윤리특위 소집을 논의했으나 부결된 것으로 전해졌다. <한겨레>는 정읍시의회 의장의 해명을 듣기 위해 수 차례 연결을 시도했으나 이뤄지지 않았다. 정읍시의회는 정원 17명으로 민주당 12명, 민생당 1명, 무소속 4명(탈당한 가해자 포함)이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