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이 4월29일 오후 시청 3층 비즈니스룸에서 ‘광주형 노사상생 완성차 성공을 위한 합의서 체결식’에 참석해 협약서 서명 후 손을 맞잡고 있다. 왼쪽부터 박광태 광주글로벌모터스 대표, 이용섭 광주광역시장,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 의장. 광주시 제공
광주형 일자리 완성차 공장 합작법인 ㈜광주글로벌모터스 경영에서 노동계가 주장해온 노동이사제를 대신하게 될 상생위원회에 참가할 구성원들이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현대차와 노동계가 서로 부담스러워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물들이 참여하게 됐는데, 그동안 갈등을 봉합하며 내실 있게 운영될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5일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 등의 말을 종합하면, 5명으로 꾸려지는 ㈜광주글로벌모터스 상생위원회에는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 의장과 박병규 전 광주시 경제부시장(광주형일자리연구원장)이 노동계 추천 인사로 참여한다. 기아차 광주공장 노조위원장 출신인 박 전 부시장은 2016년 지방선거 때 윤장현 전 광주시장 후보가 처음 제안했던 광주형 일자리 사업의 실질적인 입안자로, 이용섭 현 시장이 들어선 뒤 광주시 사회연대일자리특보 등을 지냈다.
2019년 1월31일 광주시청에서 열린 광주시-현대차 투자협약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오른쪽 둘째). 광주시 제공
회사 쪽 추천(1명)으로는 2대 주주인 현대차 출신 박광식 부사장이 참여한다. 나머지 전문가 2명은 노동계에서 1명, ㈜광주글로벌모터스와 노동계가 협의해 1명을 추천한다. 오순철 ㈜광주글로벌모터스 경영본부장은 “노동계와 전문가 추천 명단을 받아 5명으로 상생위원회를 꾸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상생위원회엔 노사 양쪽에서 서로 껄끄러워했던 인사가 참여한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박광식 부사장은 지역 노동계에서 해촉을 요구해왔고, 기아차 광주공장 노조위원장 출신인 박 전 부시장에 대해선 현대차 쪽이 부담스러워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상생위원회는 ㈜광주글로벌모터스에 상생노사발전협의회가 구성되기 전까지 노사 관련 문제를 논의해 대표에게 제안하는 구실을 한다. 노동계와 현대차 모두 한발씩 양보한 모양새인 셈이다.
지난달 2일 광주시청 앞에서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 등 지역 노동계가 ‘광주형 일자리’ 불참 선언을 하고 있다. 정대하 기자
앞서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는 지난해 1월 투자협정서 체결 이후 광주시가 광주형 일자리 ‘파트너’로 인정하지 않는다며 지난달 2일 ‘광주형 일자리’ 불참을 선언했다. 노동계는 노동이사제 도입도 강력하게 주장했지만, 2018년 6월 투자의향서 제출 이후 현대차는 줄곧 노동이사제 도입에 강력하게 반대했다.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는 지난달 29일 노동이사제 도입 요구를 철회하는 대신 광주시·㈜광주글로벌모터스와 광주상생일자리재단(가칭)과 상생위원회 설치에 합의하고 논의 자리에 복귀했다.
윤 의장은 “상생위원회와 상생일자리재단이 실질적인 노사 소통창구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해 노동이사제 도입 요구를 철회했다”고 말했다. 노동계는 또 현대차 추천 이사(박광식 부사장) 해촉, 원청-하청 관계 개선, ㈜광주글로벌모터스 임원 적정임금 책정, 시민자문위원회 설치 등의 주장도 모두 철회했다.
지난해 12월 열린 광주형 일자리 완성차 공장 기공식엔 한국노총 등 지역 노동계가 불참했다. 광주시 제공
광주지역 시민단체들은 노·사·정이 상생의 길로 나섰다며 환영했다. ‘노동존중·사회연대 광주형일자리 성공을 위한 시민모임(준)’은 이날 성명을 내어 “광주상생일자리재단과 상생위원회 등 노사상생을 위한 시스템으로 구체화해 매우 고무적”이라고 평가했다. 박재만 광주시민단체협의회 상임대표는 “노·사·정 3자가 합의 내용을 깨지 말고 서로 약속을 지켜 갈등이 재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글로벌모터스 총투자자는 37개사로 광주시가 483억원(21%)을 출자해 1대 주주, 현대차가 437억원(19%)을 출자한 2대 주주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