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분이 교수가 꽃길만 걷지, 왜 노조 만드는 피곤한 일을 하느냐고 말합니다. 하지만 아닌 것은 아니라고 판단했고, 대학을 위해 새로운 길을 개척해 보려 합니다.”
지난 10일 창립총회를 열고 단위노조를 꾸린 전주대학교 교수노동조합 오재록(49) 위원장의 다짐이다. 헌법재판소의 교원의 노조설립을 제한하는 고등교육법 헌법불합치 결정으로 개정된 교원노조법이 지난 9일 시행되면서 강사를 제외한 교수에게도 조합원 자격이 주어졌다. 개정 교원노조법 시행 뒤 첫 단위노조 설립을 주도한 그는 “이번주 안에 서류를 갖춰 고용노동부에 등록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2007년 전주대 행정학과 교수로 부임한 그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공영형 사립대학 정책이 위기의 지방대학을 살릴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전주대가 지배구조의 공공성을 실현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이고, 그동안 대학평가에서 A등급을 받았으며, 재정지원 제한대학에 한번도 들지 않는 등 여건이 좋다”고 말했다.
설립 과정에서 무엇이 힘들었느냐는 물음에 그는 “왜 교수가 노동자냐는 내·외부의 인식”이라고 고백했다. 하지만 부당징계와 낮은 재단전입금 등 학교·재단의 행태가 자신을 가만히 있지 못하게 만든 원인이라며, 사학 문제를 모른 체하는 것은 지식노동자로서 양심에 반한다고 설명했다.
전주대 교수노조에는 교내 교원 370명 가운데 133명(가입률 36%)이 창립 조합원으로 참여했고, 이후로도 가입이 계속돼 곧 200명을 넘길 것으로 전망했다. 정치활동과 쟁의행위 금지 등 아직 해결할 일이 산적해 있지만, “비정규직에 해당하는 비정년계열 교수들(70명) 신분이 모두 정년계열로 전환”되는 것을 1차 목표로 세웠단다.
정부부처와 국회사무처 등에서 실무 경력을 쌓기도 한 그는 “교수노조 초기여서 전국에서 주목하는데, 사학개혁 차원에서 뒤따라오는 분들에게 기꺼이 실무적인 도움을 줄 것”이라고 다짐했다.
“대학은 더는 상아탑이 아니고 취업공장으로 전락했습니다. 지식노동자들이 건강해야 합니다. 거기서 한류도 나오고, 아이티(IT)와 4차산업도 나옵니다.”
글·사진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