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공론화위원회 이정현 간사가 15일 오전 전주시청에서 최근 열린 2차 회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전주시 제공
전북 전주시는 지난 12일 관내 노른자위 땅인 옛 대한방직 터(23만여㎡) 개발방향을 제시할 ‘옛 대한방직 부지 관련 시민공론화위원회’ 2차 회의를 개최하고 본격 활동에 돌입했다고 15일 밝혔다.
시민공론화 위원 전원이 참석한 가운데 워크숍 형태로 열린 2차 회의는 △공론화 추진 배경과 의제·쟁점 소개 △도시계획 제도와 대한방직 부지 현황 설명 등으로 이어졌다. 특히 이날 시민의견 수렴을 위한 ‘시나리오 워크숍’ 운영 용역에 대해 토의했고 정책결정권자·전문가·시민 등 30명 안팎으로 워크숍 참여자를 결정하기로 했다. 또 시청 누리집에 회의 결과 공개방법 등을 논의했다.
원광대 도시공학과 명예교수인 이양재 공론화위원회 위원장은 “다양한 시나리오를 논의한 뒤 공론조사를 통해 최적의 시나리오로 시민의견을 모을 수 있도록 꼼꼼하게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6월20일 오전 9시30분 시청 회의실에서 3차 회의가 열린다.
앞서 지난달 28일 전주신시가지에 위치한 옛 대한방직 터의 개발방향을 제시할 공론화위원회가 출범했다. 공론화위원회는 모두 11명의 위원으로 꾸려졌다. 위원회는 오는 10월까지 시나리오 워크숍, 공론조사 등 폭넓은 시민의견 수렴과정을 거쳐 옛 대한방직 터의 개발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지난 2월 전주신시가지에 위치한 전북도청 옥상에서 바라본 옛 대한방직 터의 모습. 박임근 기자
2017년 이 부지를 약 2천억원에 사들인 자광은 2조5천억원 규모의 대형 사업계획을 내놓았다. 143층(430m) 높이의 익스트림 타워를 비롯해 60층짜리 3천세대 규모의 아파트, 호텔 등을 건설하는 계획이다. 자광은 토지용도 변경에 따른 특혜 논란을 불식시키기 위해 도로와 공원 등 공공용지를 시에 기부채납하겠다고 제안했다. 하지만 전주시는 장기적 도시개발계획 등과 맞지 않는다며 제안서를 보류하고 공론화위원회를 통해 해법을 찾기로 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