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립미술관이 지난 5월 누리집을 통해 연 ‘광주 미술인 희망릴레이 챌린지’ 온라인 전시회 작품들.광주시립미술관 제공
코로나19로 무너져가는 지역 예술계를 살리기 위해선 온라인 예술콘텐츠 제작·송출 플랫폼 구축 등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인철 광주전남연구원 책임연구원은 16일 ‘정책브리프’를 통해 “지역 예술인 명단 등 기초적인 데이터베이스조차 구축되지 않아 코로나19 이후 지원사업의 대상이 제대로 선정되었는지, 필요한 부분에 지원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17개 지방정부 문화재단에선 ‘공공예술프로젝트 백만원의 기적’(경기), ‘방구석 콘서트’(경남), ‘온라인 예술극장 사업’(광주) 등 예술인 지원 정책을 내놓았다. 하지만 광주의 경우 공연·전시 등의 분야에서 일하는 예술인(2만여명) 상당수가 코로나19 사태 이후 공연·전시 등이 취소되면서 생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조각가 ㄱ씨는 “지원정책 혜택자는 소수다. 나도 인테리어 파트타임 ‘알바’가 있으면 달려가지만 2~3일을 일해도 10만원을 손에 쥐기 힘들다. 주변 작가들 대부분이 ‘투잡’ ‘쓰리잡’을 하고 있다”고 했다. 민 연구원은 “지방정부의 예술인 지원정책이 기존 공모사업을 약간 변형한 형태의 지원사업들로 새로운 형태의 실험적 기획사업이 많지 않다”고 했다.
광주시 동구 운림동에 있는 무등현대미술관이 8월25일까지 제8회 환경미술제를 연다.무등현대미술관 제공
지역 예술 생태계가 고사하지 않으려면 발상을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예술인들이 만나서 공연 연습을 하기도 힘들고 공연·전시마저 취소되거나 무관객으로 진행되는 상황에서 창작욕구가 사그러들고 있기 때문이다. 최영화 호남대 교수(미디어영상공연학과)는 “지방정부에서 공연·전시 등을 온라인으로 관객들에게 송출할 수 있도록 장비구축 등 플랫폼을 만들어 주길 바란다”고 했다.
재난·재해를 맞은 지역 예술인을 지원할 수 있는 조례제정도 필요하다. 정송규 무등현대미술관장은 “작가들이 최소한의 기본생활도 되지 않은 상황에서 ‘소품전’을 열어 관공서에서 작품을 매입해주거나, 일정기간 기본소득 형태로 생계비를 지원해주는 지원방안이 필요하다”고 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
광주시립미술관이 지난 5월 누리집을 통해 연 ‘광주 미술인 희망릴레이 챌린지’ 온라인 전시회 홍보물. 광주시립미술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