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일자리 자동차 공장 신설법인 ㈜광주글로벌모터스(GGM)의 명목상 1대 투자자인 재단법인 광주그린카진흥원이 직원을 자의적으로 판단해 채용하는 등 방만하게 운영한 것으로 드러났다.
20일 광주시의 설명을 종합하면, 시 출연기관인 광주그린카진흥원(이하 그린카진흥원)은 2018년 11월 이후 지난 6월까지 정규직(5급-가) 직원 24명을 선발했다. 시는 “자체 조사 결과, 그린카진흥원이 내부에서만 서류 심사위원을 구성하고 합격자 6명을 심사위원이 자의적으로 합격 처리한 사실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문제는 자의적 합격자로 조사된 6명 중 1명인 ㄱ씨에 대해 ‘특혜 채용’ 논란이 일고 있다는 점이다. ㄱ씨는 배 원장이 광주테크노파크 원장으로 재임하던 기간(2017~2018년)에 차량 운전을 담당했던 용역업체 파견 직원이었다. 그린카진흥원은 정규직 직원 채용 때 응시자 중 ‘기타 이와 동등한 자격이 정되는 자’의 경우 외부 심사위원을 포함시켜 자격 요건 여부 등을 판단해야 한다. 하지만 시는 “그린카진흥원이 내부 심사위원이 자의적으로 판단해 ㄱ씨를 최종 합격처리했다”고 밝혔다. ㄱ씨는 학점 인증제를 통해 대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지만, 당시 학위 취득 후 2년이 지나지 않은 상태여서 외부 심사위원의 판단이 필요했다는 것이다. 일각에선 배 원장이 그린카진흥원장으로 자리를 옮긴 지 3개월 만에 ㄱ씨가 정규직으로 채용되자 ‘특혜 논란’을 제기한 바 있다.
시는 그린카진흥원이 ‘시 공용차량 관리 지침’을 무시하고 대형 승용차를 임차해 원장이 이용하도록 한 사실도 적발했다. 그린카진흥원은 지난 4월 자체적으로 ‘차량 관리규정’을 만들지도 않은 상태에서 대형 승용차 케이7을 3년간 3496만원을 주기로 하고 임차해 사실상 ‘원장 전용 차량’으로 이용했다. 임차한 대형 승용차의 출퇴근 운전 등은 ㄱ씨가 전담했다. 시는 “배 원장과 부하직원 ㄱ씨가 출퇴근 때 이 차량을 사적 목적으로 이용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확인서를 받았다”고 밝혔다.
광주시는 그린카 진흥원 운영실태를 점검해 신분상 조치 6건(10명), 환수 2건, 개선 14건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그린카진흥원은 성희롱·부패·갑질 제보 등 상담 공간은 간부의 사무실로 사용했고, 7천만원 규모 행사 용역을 담당 부서 직원 배우자 업체에 맡기기도 하는 등 방만하게 운영된 것으로 드러났다.
그린카진흥원은 21일 인사위, 25일 임시 이사회를 열어 이 사안에 대해 처리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배 원장에 대한 인사 조처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미래 자동차 산업 핵심 기술확보 및 지원을 위해 설립된 시 출연기관인 그린카 진흥원은 광주글로벌모터스에 광주시를 대리해 483억원을 투자한 1대 주주이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