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택(왼쪽) 의원이 신영대 의원과 함께 21일 전북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박임근 기자
전북지역 국회의원들이 21일 새만금호 수질개선을 위한 해수유통을 촉구했다.
신영대(군산)·이원택(김제·부안) 의원은 이날 전북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새만금방조제와 서해안으로 둘러싸인) 새만금호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해수유통 외에 근본적 대안이 없다”며 해수유통을 강조했다. 이들은 “새만금 담수화로는 목표수질 달성이 어렵고 해수유통이 확대돼야 대부분 수역에서 목표수질 달성이 가능하다”고 역설했다
환경부는 새만금 수질개선사업 1단계(2001~2010년)에 이어 2단계(2011~2020년)를 추진하고 있으며, 종합평가 연구용역을 지난해 7월부터 올해 9월까지 일정으로 진행하고 있다. 두 의원은 이달 말 끝날 예정인 수질대책 종합평가 결과 발표를 앞두고 입장을 표명한 것이다. 전북도는 2020년 이후에도 3단계 수질개선 종합대책을 건의할 방침이다.
신 의원은 해수유통을 담보로 한 조속한 추진을, 이 의원은 새만금호 내측 수위 -1.5m(해발 보다 낮음) 관리, 상류지역 지속적 수질 개선 추진, 농업용수 공급방안을 마련으로 한 해수유통, 총리실 중심의 범정부 태스크포스 구성 등 해수유통 추진의 4대 전제 조건을 내세웠다.
신 의원은 “지금과 같은 담수호 방식으로는 목표수질 달성이 어렵다. 새만금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 속도감 있게 해수유통을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담수호냐 해수유통의 문제이지 개발은 그대로 가는 것”이라며 “도민과 전문가의 충분한 검증과 의견수렴은 물론, 전북도·김제시·군산시·부안군 의견도 반영해야 한다. 용역결과 발표 뒤 2단계 수질 개선대책 평가와 후속대책에 대해 도민이 납득할 수준까지 검증하자”고 제안했다.
전북지역 단체로 꾸려진 ‘새만금 해수유통 추진 공동행동’은 이날 “두 의원의 새만금 해수유통 찬성을 환영한다”며 “해수유통을 반대하는 전북도의 태도 변화가 선행되고, 민·관협의를 통해 새만금 수질 개선방안, 정부의 태도 변화가 우선돼야 할 것”이라고 논평했다.
전북도는 “환경부 용역의 최종 결과가 발표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체적인 입장을 밝힐 단계는 아니다”고 밝혔다. 다만 도는 “새만금 목표수질은 2020년까지 내부개발이 73% 추진되고 새만금호 안의 대책을 포함한 수질대책이 정상 추진된다는 전제하에 설정한 것이다. 현재 내부개발 공사가 계획보다 지연되고 호안의 대책도 추진되지 않은 상황에서 목표수질 달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덧붙였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