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해수유통추진 공동행동’은 13일 전북도청 앞에서 해수유통에 대한 정부의 입장 변화를 환영했다. 박임근 기자
전북지역 시민사회단체와 종교계가 ‘새만금 민관협의회’(가칭) 구성을 제안하고 나섰다.
‘새만금 해수유통추진 공동행동’은 13일 전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환경부의 ‘새만금호 해수유통 불가피’ 입장은 약 30만에 바뀐 것으로 새만금 생명의 죽음과 어민·주민의 고통, 시민단체의 헌신 뒤에 이뤄진 것이다. 이제 민관의 불신과 반목을 극복하고 새만금사업의 정상화를 위해 새만금 민관협의회의 구성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새만금 해수유통은 새로운 변화의 시작”이라며 “1991년 ‘새만금지구 간척 종합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서가 통과되고, 2001년 새만금호 수질보전대책 시행, 2011년 새만금유역 2단계 수질개선종합대책, 2015년 2단계 수질개선종합대책 중간평가 등 과정에서 환경부는 줄곧 담수화를 통해서도 수질개선이 가능하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예산 4조원을 쏟아붓고도 수질이 악화해 해수유통은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환영했다.
전북환경운동연합 등 전북지역 42개 단체로 꾸려진 공동행동은 “새만금호 목표수질 달성을 위해서는 환경부가 제시하는 해수유통 방법(관리수위를 해수면보다 1.5m 낮게 유지하면서 배수갑문으로 1일 2회 해수를 유통하는 방식)보다 더 많은 해수유통량을 확보해야 하고, 목표수질도 현재 3~4등급에서 1~2등급으로 올리는 조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를 위해 “해수유통이 불가피하다는 환경부의 수질평가보고서 공개에도 담수화를 통해 2025년까지 수질개선사업을 고집하는 전북도는 입장을 바꿔야 하고, 최종 결정을 내릴 새만금위원회도 올해 안에 새만금호 담수화 계획을 포기하고 해수유통으로 새만금 물관리계획을 변경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전북지역 42개 단체로 꾸려진 ‘새만금 해수유통추진 공동행동은 13일 전북도청 앞에서 해수유통에 대한 전북도의 입장 변화를 촉구했다. 박임근 기자
환경부는 최근 새만금유역의 물을 농업·도시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질을 높이려면 해수유통을 해야 한다는 연구용역 보고서를 공개했다. 앞서 환경부는 새만금 수질개선사업 1단계(2001~2010년)에 이어 2단계(2011~2020년)를 추진했고 종합평가 연구용역을 지난해 7월부터 올해 9월까지 진행했다.
환경부는 보고서를 토대로 호수내 오염원 관리대책과 배수갑문을 운영하는 시나리오별 후속대책 등 복수의 안을 마련해 새만금위원회에 보고할 예정이다. 국무총리실 소속 심의위원회인 새만금위원회는 이를 반영해 연내 새만금기본계획을 정한다. 전북도는 새만금 동서도로 등 현재 추진 중인 개발사업과 2단계 수질개선사업 때 시행하지 못한 대책 등을 진행한 뒤 2025년께 해수유통 여부를 결정하자는 입장이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