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마을로 사업에 참여한 해남산들바다애 농업회사법인. 전남도청 제공
청년에게 200만원 이상의 수입을 보장하고, 농어촌 일자리를 주선하는 ‘전남 마을로’ 사업이, 떠나는 청년들의 발길을 잡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반 시설과 문화 환경 확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라남도는 4일 “청년한테 농어촌의 일자리를 주선하는 ‘전남 마을로’ 사업에 참여한 1852명 가운데 46.8%인 868명이 도중에 퇴사했다”고 밝혔다. 전남 마을로 사업은 18~39살 청년층한테 월급 180만~200만원, 식비·교통비 30만원, 4대 보험과 연차수당, 퇴직금을 보장하고 일자리를 주선해주는 제도다. 전남도는 2017년 이 사업을 특색사업으로 도입한 뒤 2018년 말부터 해마다 150억원 안팎을 들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재원은 국비 40%, 지방비 50%, 기업 10% 비율로 부담해 마련된다. 농어업법인과 사회적기업, 농어업단체 508곳이 참여하는데 청년들이 근로 계약한 곳에서 2년을 채우면 정규직으로 채용하도록 지원한다.
지원 조건이 나쁘지 않고, 참여자도 느는 추세다. 전남도는 “참여자는 지난해 900명, 올해 926명으로 해마다 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2년을 채우고 오래 머무는 청년은 드물다. 전남도는 2년 계약을 채우고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비율이 사업 참여자의 15% 안팎에 머물고 있다고 했다.
청년들의 전공과 바람에 맞는 일자리를 마련하기 어려운 농어촌 지역의 현실이 원인으로 꼽힌다. 전남도는 참여자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대졸 청년의 전공과 희망을 농어촌 지역에서 충족시키기가 어렵다고 했다. 또 대부분 업체가 영세해 경쟁력을 갖추기 어렵고, 직장 주변 주거 여건과 교통 시설이 열악하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내놨다. 참여자들은 어울릴 또래 집단이 없고 문화 시설이 부족하다는 점을 꼽았다.
김차진 전남도 일자리정책과장은 “적지 않은 월급과 주 40시간 근무로도 청년을 붙잡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일자리라는 개념에는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모든 여건이 함축돼 있다. 특히 청년들이 찾는 일과 구할 수 있는 일 사이의 ‘미스매칭’이 가장 큰 난제”라고 말했다. 김용호 전남도의원도 “사업의 목적은 좋지만 효율을 더 높여야 한다”며 “청년의 중도 퇴사율을 낮추려면 사업을 1~3개월가량 미리 체험하게 한 뒤 참여를 결정하도록 하고, 이 기간도 근무 기간에 포함하는 등 탄력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남도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사업을 2022년까지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중도 퇴사율을 낮추고 정규직 전환율을 높이는 방안을 재설계 중”이라고 전했다. 도는 시·군에 1~2명씩 관리자를 두어 워크숍과 멘토링 등을 맡도록 하고 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