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무안군 망운면 무안국제공항 전경. 전남도청 제공
행정통합을 하자는 광주시와 전남도가 공항 이전 문제조차 풀지 못한 채 티격태격하고 있다.
광주시는 광주 민간공항과 군 공항의 이전을 연계하기로 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9일 “광주 민간공항의 무안 국제공항 이전 시기를 광주시와 전남도, 국방부와 국토교통부 등이 참여하는 4자 협의체에서 군 공항 이전 문제와 함께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광주시민의 55.9%가 민간공항의 광주 존치를 바라지만 대승적 차원에서 민간공항을 무안공항에 통합하겠다. 하지만 시기는 군 공항 이전 합의 뒤 결정하려 한다”고 전했다. 광주시민권위가 지난달 “내년으로 예정된 광주 민간공항 이전을 유보하라”고 권고한 데 따른 후속 조처다. 이는 지난 2018년 광주시·전남도·무안군 등 3자가 합의한 ‘조건 없는 민간공항 이전’을 뒤집고 선 군 공항 이전 합의, 후 민간공항 이전으로 선회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남도는 “조건없이 민간공항을 이전하겠다던 약속을 파기했다”고 유감을 표명했다. 전남도는 10일 입장문을 내어 “민간공항과 군 공항 이전을 연계하는 바람에 해결이 더욱 어려워졌다. 국가계획에 따른 민간공항 통합이 막바지에 이른 순간 약속을 뒤집고도 사과조차 없다”고 반박했다. 도는 “기피시설인 군 공항 이전을 위해 노력했지만 시는 주민이 수용할 수 있는 지원대책을 마련하는 데 소홀해 반발만 키웠다”고 비판했다. 명창환 도 기획조정실장은 “4자 협의체는 군 공항 이전을 위한 실무협의체일 뿐이어서 민간공항 이전에 관한 어떠한 결정 권한도 없다. 일방적 주장을 하는 수단으로 활용하면 이 협의체의 존립마저 위태로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전남도의회도 성명을 통해 “이 시장이 민간공항 이전 약속을 파기해 행정통합을 논의하는 광주·전남의 상생 분위기를 뒤엎고 도민의 가슴에 상처를 남겼다”고 비판했다. 또 예결위에서 심의하던 행정통합을 위한 연구용역비 2억원을 전액 삭감했다.
이에 따라 군 공항 이전 장소 선정과 민간공항 이전 시기 결정을 두고 양쪽의 대립과 마찰이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