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해수유통추진 공동행동’ 등이 24일 오후 전북도청에서 열리는 새만금위원회 제25차 회의에 앞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새만금 기본계획에 해수유통을 명시하라고 촉구했다. 박임근 기자
환경·종교단체와 어민 등이 새만금 기본계획(MP)에 해수유통을 명시하고 수산업 복원대책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새만금 해수유통추진 공동행동’과 ‘5대종단 생명평화기도단’ 및 어민 등은 24일 오후 전북도청에서 열리는 새만금위원회 제25차 회의에 앞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해수유통 없는 정부의 ‘그린뉴딜 1번지’는 사기다. 2020년 새만금호를 담수화한다는 정부의 계획은 실패했으므로, 정부는 새만금 기본계획에 해수유통을 명시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새만금 간척사업은 수많은 어민들의 희생 위에서 진행 중인 사업이다. 하지만 피해대책을 요구하는 어민들은 ‘보상을 받지 않았냐’라는 얘기를 듣고 있다. 이번 새만금위원회에서 새만금 해수유통 결정과 함께, 어류양식단지 조성 등 피해어민들을 위한 생계대책과 수산업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더 이상의 갈등을 없애고 도민의 역량을 모으기 위해 새만금 민·관협의회를 구성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전북도청에서 열린 새만금위원회에서는 △새만금 기본계획 변경안 △새만금 농생명용지 농업용수 공급방안 △새만금유역 후속 수질관리 대책안 등을 논의했다. 앞서 지난 16일부터 새만금 해수유통추진 공동행동은 전북도청 앞에서 새만금 기본계획에 해수유통 명시 등을 촉구하며 천막농성을 벌여왔다.
정세균 총리가 24일 오후 전북도청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장을 방문해 말하고 있다. 박임근 기자
한편, 이날 전북도청에 도착한 정세균 총리는 회의장에 들어가기 전에 기자회견장을 방문했다. 정 총리는 “여러분들이 걱정하는 내용을 잘 알고 있다. 환경을 지키는 것은 지금 뿐만 아니라, 당장 다음세대를 위해서 꼭 지켜야 할 소중한 가치다. 옛날에는 최선이었던 것이 지금은 차선이 되기도 한다. (새만금) 방향전환이 있으려면 주민들의 공감을 얻는 가운데 이뤄져야 하고, 필요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 힘드시더라도 인내심을 갖고 함께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